[한국 vs 중국] 제2의 LCD 꿈꾸나? 美견제 속 韓반도체 따라오는 中
상태바
[한국 vs 중국] 제2의 LCD 꿈꾸나? 美견제 속 韓반도체 따라오는 中
  • 이상래 기자
  • 승인 2020.05.19 16: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 무서운 기술발전 속도…韓과 기술격차 1~3년
정부 막대한 지원금…저가 치킨게임 공세 가능성
美제재로 비틀거리는 중국몽…韓, 불확실성에 고심
중국 창신메모리 사업장. 사진출처=창신메모리 홈페이지
중국 창신메모리 사업장. 사진출처=창신메모리 홈페이지

[매일일보 이상래 기자] 반도체는 중국 산업 굴기 ‘제조2025’의 핵심 분야 중 하나다. 중국은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구체적 목표까지 제시한 상태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과거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막대한 지원금을 퍼줘 치킨게임을 통해 글로벌 LCD 시장을 장악한 것처럼 반도체도 안심할 수 없다”고 말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개발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칭화유니그룹, 창신메모리(CXMT) 등 대표적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정부의 대대적 지원 속에 한국 반도체 기업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는 것이다.

칭화유니그룹 양쯔메모리(YMTC)는 최근 128단 적층형 낸드플래시 개발에 성공했다. 이 반도체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8월 양산을 시작했고,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 내 양산 목표다. 창신메모리도 연내 17나노(㎚) D램을 양산할 계획이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삼성전자와 기술 격차가 3년으로 좁혀질 수 있다.

업계는 중국 반도체 기술의 이같은 가파른 성장은 중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 덕택에 가능했다고 본다. 구체적인 수치가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중국 기업들의 반도체 수율은 매우 낮아 가격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적자를 감내하면서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다. 이를 지속적으로 가능케 하는 것이 중국 정부의 보조금 성격의 지원금이라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반도체는 사람의 심장과 같다”고 강조할 만큼 반도체 굴기는 공산당 최고위층의 중점 사안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반도체가 현재 수율 수준이 낮고 글로벌 표준에 미치지 못해 아직까지 위협적인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LCD 사업에서 봤듯이 중국 반도체가 막대한 보조금에 기대 경쟁력을 점차 올려 결국 저가의 치킨게임을 벌이면 한국 반도체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과거 LCD 패널 시장을 주도했던 한국 기업들은 중국의 저가 공세로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돼 버티지 못하고 중국 기업들에 점유율을 내주고 말았다.

그렇다고 중국 반도체 굴기의 장애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최근 격화된 미·중 갈등 양상이 중국 반도체 굴기를 발목잡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최근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공급과 관련해 강력한 제재안을 발표했다. 미국의 기술과 소프트웨어 등을 사용한 반도체를 화웨이에 공급할 시 사전에 미국 정부의 별도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한 것이다. 이렇게 미국의 소프트웨어나 기술, 장비에 대한 중국 기업들 사용이 제한되면 반도체 산업 육성이 차질이 발생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지금 당장 반도체 관련 모든 소프트웨어와 기술, 장비 분야에서 자급자족은 불가능하다”며 “설사 어느 정도 자체적 기술이 있다고 해도 최신 기술과 비교해 떨어지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중국 반도체 굴기가 이대로 무산되는 것은 아닐 것으로 업계는 본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제재가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 확대 의지를 강하게 했다”며 “향후 미국과의 기술 패권을 다투기 위해서는 반도체 굴기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중국 정부가 절실히 느낀 만큼 더 강력히 추진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 반도체 업체는 지금과 같은 불확실성에 고민이 깊다. 국내 기업들이 중국을 배제하고 미국과의 협력에만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무역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반도체 수출액중 대(對)중국 수출액은 전체의 39.7%에 이른다. 반도체 최대 수출국인 중국을 포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이번 화웨이 제재에는 국내 메모리 반도체 업체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지금 섣불리 어떤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 양상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