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1.8% 유지…물가 0.3%p 상향
상태바
KDI, 올해 성장률 1.8% 유지…물가 0.3%p 상향
  • 염재인 기자
  • 승인 2023.02.09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9일 한국개발연구원 '2023년 경제전망 수정 발표'
"하반기, 中 리오프닝으로 경제 회복 빠를 것"
'공공요금 인상'에 물가 전망치 3.2%→3.5%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3년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은 1.8%로 유지하고, 물가상승률은 기존 3.2%에서 3.5%로 0.3%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사진은 수출과 물가 등 경제 관련 CG. 사진=연합뉴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3년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은 1.8%로 유지하고, 물가상승률은 기존 3.2%에서 3.5%로 0.3%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사진은 수출과 물가 등 경제 관련 CG.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염재인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8%로 예상하며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로 하반기 경제 회복 속도가 기존 예상보다 빠를 것이란 이유에서다. 다만 올해 물가상승률은 공공요금 인상 등을 고려해 종전 3.2%에서 3.5%로 0.3%포인트(p) 올렸다. 

KDI는 9일 발표한 '2023년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8%로 예측했다. 작년 11월 전망에서 제시했던 것과 같은 수치다. KDI는 수출 부진 등으로 상반기 경기 둔화가 심화되겠지만,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경기가 회복할 것이란 판단이다. 이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상반기 1.4%에서 1.1%로 내리고, 하반기 2.1%에서 2.4%로 올린 결과다. 상저하고 폭이 더 깊어진다는 의미다. 

전망의 주된 배경은 중국 경제와 관련이 있다. 중국 내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세와 이에 따른 경기 위축 영향을 받아 상반기 우리 경제는 1.1%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기존 전망치(1.4%)보다 0.3%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다만 하반기에는 중국 경제 반등이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기존 전망치(2.1%)를 상회하는 2.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가 서비스 수출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올해 총수출(물량 기준)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8%로 상향했다. 연간 취업자 수 증가폭 역시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국내 대면서비스업 호조를 반영해 8만명에서 10만명으로 올렸다. 이는 정부 예상치(10만명)와 같은 수준이다.

이번 성장률 전망에는 세계 경제 성장세가 올해 둔화하고, 원유 도입단가(두바이유 기준)는 지난해(96달러)보다 17% 정도 하락한 배럴당 80달러 내외를 기록할 것을 전제했다. 앞으로 원화 가치도 최근 수준에서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고 성장률을 예상했다.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율의 상향 조정, 국제유가 하락 등을 반영해 흑자 폭을 160억달러에서 275억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KDI가 예측한 성장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가 제시한 전망치와 같은 수준이다. 국제통화기금(IMF·1.7%), 한국은행(1.7%), 정부(1.6%),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보다는 높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공공요금 인상 등을 고려해 기존 3.2%에서 3.5%로 0.3%포인트 올렸다. 이는 정부 전망치와 같다. 지난해 높았던 원자재 가격 수준 등이 공공요금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물가상승률을 올렸다는 게 KDI 설명이다.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파급을 고려한 영향으로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상승률도 3.3%에서 3.4%로 상향했다. 

공공요금 인상 등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를 반영해 민간소비 증가율 역시 기존 3.1%에서 2.8%로 낮췄다. 공공요금 인상과 관련해 올해 전기요금 인상이 지난 1월 오른 폭과 비슷한 속도로 매 분기 진행될 것을 전제했다. 

다만 우리 경제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몇몇 위험 요인도 있다. KDI는 "중국 경제 회복세가 완만한 수준에 그치거나, 고물가 기조가 유지되면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 우리 경제 회복도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대내적으로는 부동산경기 하락이 실물경제에 파급되면서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