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상호금융 연체율도 뛴다
상태바
저축은행·상호금융 연체율도 뛴다
  • 홍석경 기자
  • 승인 2021.04.22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체 가능성 있는 대출 1년 새 9000억원↑
9월 이자유예 종료 이후 여신 부실화 촉각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이 보유한 여신에 대해 부실화를 우려하는 시각이 제기된다. 코로나19 이후 1년 사이 연체 가능성이 있는 여신만 9000억원 가량 늘었다.

22일 금융감독원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과 신용협동조합, 농·수·산림조합의 고정이하여신은 11조4129억원에 달한다. 작년보다 무려 8963억원 증가한 규모다. 업권별로는 농·수·산림조합이 5조647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저축은행 업계가 3조2991억원을 기록했다. 신협은 총 2조4677억원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은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대출금이다. 상대적으로 보유고객이 많은 대형저축은행에서 증가추세다. 자산 상위 5개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의 고정이하여신은 지난해 1조2898억원으로 1년 전보다 1571억원 커졌다.

고정여신이하 비율이 늘었다고 해서 당장 2금융권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은 아니다. 대부분 금융기관이 보유한 전체 여신에서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이 줄고 있고, BIS비율 등 건전성 지표도 개선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가계대출 속도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월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2금융권의 총여신은 1년 만에 71조3848억원 늘어 619조8706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1월이 시작될 때만 해도 1조5726억원 늘어나는 것에 그쳤던 여신은 이후 매달 평균 5조4584억원씩 증가했다. 분할상환금을 포함해 약정한 날짜에 돌려받지 못한 연체채권 금액도 직전 연도보다 495억원 늘어난 8조7258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이전인 3년 전과 비교하면 42.17%(2조5884억원) 불어났다.

현재 정부 지원에 따라 만기가 연장되고 이자 납부가 유예된 대출상품은 ‘정상’으로 분류된다. 다만 연체율 지표가 위기 뒤에 급증하는 후행지표인 데다, 상환유예로 인해 ‘착시효과’가 지속하는 만큼 실질적인 건전성 파악에 어려움이 크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매우 가파른 가운데 정책 지원 효과로 실질적인 연체율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만기상환 연장과 이자 유예 이후에 대응해 여신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했다.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