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코로나발 은행 건전성 우려는 여전하다
상태바
[기자수첩] 코로나발 은행 건전성 우려는 여전하다
  • 김정우 기자
  • 승인 2020.11.04 1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김정우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대출이 늘면서 경제 기반을 책임지고 있는 은행들의 건전성 악화 우려가 여전하다.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잔액은 492조727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1.29%(6조2733억원(), 올해 초 대비 10.17%(45조4799억원) 증가한 수치다.

대기업과 달리 규모가 제한적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코로나19와 같은 악재에 흔들리기 쉽다. 경기 불확실성에 따라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여력 확보에 앞서 당장 운용자금 마련이 시급한 만큼 꾸준히 대출 수요도 증가해 왔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코로나19 대출 한도를 확대한 영향도 더해졌다.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대출을 일으켰지만 상황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빚으로 연명해온 소상공인들은 차례로 사업을 포기하고 있다. 주말과 연휴 주요 상업지역에는 제법 유동인구가 있어 보이지만 주변 상가와 건물들은 공실이 크게 늘어 코로나19 타격을 실감케 한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소상공인에 이어 중소기업까지 경영 악화로 폐업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이 경우 대출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은행에도 부실채권의 부담이 전가된다. 

올 1~3분기 5대 시중은행은 연체율이 낮아지고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이 감소하는 등 건전성 지표 개선세를 나타냈다. 이는 코로나19 여파가 반영되지 않은 결과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일으킨 대출은 상환 기간이 남았고 만기된 대출도 기한이 미뤄졌기 때문이다.

내년 3월까지로 연장된 원금·이자 상환 유예 등 지원책에 따라 아직은 부실화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만큼 후폭풍에 대한 우려는 상존한다. 극적으로 백신이 개발되는 등 반가운 소식이 들리더라도 당장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지 못하는 차주가 내년 3월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들의 대출 부실화가 심각해질 경우 은행들은 기존 차주들에 대한 여신관리 고삐도 조일 수 있다. 재정 건전성에 적신호가 들어올 경우에는 금리 인상 등을 통해 신규 대출 문턱을 높이는 지금의 예방적 조치를 넘어 기존 차주들에 대한 대출 연장 불허 등 상환 압박도 한층 강해질 수 있다. 이는 다시 기업과 가계경제를 어렵게 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시중은행들이 이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확대 적립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업종별 분류에 따라 대출을 관리하는 등 여신 모니터링도 고도화 했다.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은행 차원의 조치지만 민간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당국 역시 이 같은 상황에서 연착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카드를 준비해둬야 한다. 업계에 짐을 더하기 보다 운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방향성이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