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신용위험 확대…IMF도 부실부채 경고
상태바
시중은행 신용위험 확대…IMF도 부실부채 경고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0.09.22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상공인 원금·이자상환 잇단 유예로 여신관리 비상
IMF "韓 부채 절반 위험부채…은행에 심각한 리스크"
코로나19 이후 시중은행의 위험부채가 늘어나며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사진은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시중은행의 위험부채가 늘어나며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사진은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광표 기자]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은행들이 '빚 폭탄' 위기에 몰려 있다. 금융당국이 내년 3월까지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을 유예하면서 당장 여신관리가 어려워지자 대규모 충당금을 쌓는 등 '자구책'을 세우는 데에도 분주한 모습이다. 

덩치가 큰 기업들의 사정은 그나마 낫지만 소상공인과 중소, 중견기업의 경우 정부의 지원으로 원금과 이자 상환을 뒤로 미뤘을 뿐 내년 3월에는 원금 뿐만 아니라 이자에 대한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말 기준, 5대 시중은행(신한, KB국민, 우리, 하나, NH농협)의 코로나19 대출 원리금 유예 규모는 약 36조원에 달한다. 이들 5대 시중은행의 같은기간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260조9258억이나 된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들이 경영난에 대출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최근 내놓은 2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업 대출 증가폭이 47조2000억원에 달했다. 또 자영업자 비중이 큰 도소매, 숙박, 음식점에서 18조8000억원이 늘었다. 이는 2008년 관련 통계작성 이후 가장 크게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수록 자영업자들이 은행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 15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소상공인 이자 납부 유예 규모는 174억원 규모였다. 또 개인사업자의 납부유예에 해당하는 대출 잔액은 1조700억원이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내년 3월 이자를 한꺼번에 납부하려면 상당수 채무자들이 큰 부담을 느낄 것"이라며 "은행 차원에서도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라 말했다. 

소상공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기업부채의 위험성도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 중소기업 부채의 절반을 '위험부채'로 추정했다. 위험부채란 유동성 위험을 초래할 정도로 기업의 실적이나 자산 규모에 비해 부채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최근 IMF는 '대한민국 금융 부문 평가 프로그램 기술 노트' 보고서를 통해 금리 인상이 갑작스럽게 이뤄질 경우 기업이익이 급감하면서 비(非)중소기업의 위험부채 역시 두 배로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부실 중소기업 대출에 따른 은행의 누적 손실은 국내총생산(GDP)의 2%에 이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IMF는 "한국의 총 기업부채 4분의 1(GDP의 약 28%)은 '위험부채'이며, 이 가운데 절반정도는 중소기업에 포함된다"면서 "전체 중소기업 부채의 약 절반이 위험부채로 추정되고 ROA(총자산에서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율)가 1% 미만인 기업이 보유하고 있어 은행의 재무제표에 심각한 리스크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평균 부채 비율은 약 60% 수준으로 비(比)중소기업(30%)에 비하면 높다고 진단했다.
IMF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부채가 많고 수익성이 낮으며 규모가 작고 재고 회전률이 낮은 기업은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더욱 높으며 △기업의 재무건전성은 갑작스러운 금리 인상에 취약하고 △이는 '이익 쇼크'(profit shock)와 결합돼 비(非)중소기업이 보유한 위험부채도 2배로 늘 수 있다고 짚었다.

또한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에 따르면 부실 중소기업 대출로 인한 은행의 누적 손실은 GDP의 최대 약 2%가 될 것"이라면서도 "이러한 손실은 금융시스템이 흡수할 수 있도록 광범위하게 관리할 수 있다"고 했다.

가계부문 부채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IMF는 2018년 기준으로 총 가계 부채의 약 15%(GDP의 14%)가 '위험부채'로 분류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IMF는 "한국의 GDP 비중에서 가계 레버리지(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해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 수준은 OECD에서 가장 높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고령인구 비중이 빠르게 급증하며 인구구조가 변화하면서 가계부채 리스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IMF는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소득을 특징으로하는 고령층이 늘면서 향후 가계 부채 회복력에 위험을 줄 것"이라며 "이러한 요인은 또한 스트레스 시나리오에서 강제매각 가능성을 높여 훨씬 더 큰 부동산 가격 조정을 초래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