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박규리 기자]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5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북미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 것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관계 중재자로서의 역할에 한계를 맞이했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김정은을 대신해 미국을 설득했던 문재인 정부의 소위 '중재자론'이 일정 부분 파산을 맞게 됐다. 옥류관 평양냉면에 취해서 물고기를 다 잡은 양 호들갑을 떨던 문재인 정부의 나이브(순진)한 현실을 지적한다"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작금의 상황은 북미 사이에서 문재인 정부의 운신 폭이 좁고 역할에 한계와 제한이 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비핵화는 핵폐기에서 종결된다.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에서 중재자가 아니라 당사자라는 것을 정확하게 깨닫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북미 정상회담이 취소됐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이 아닌 만큼 이제라도 현실을 인식하고 냉정한 상황 관리에 임해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하면서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을 비롯한 외교·안보 라인에 대해 특단의 판단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편, 북미회담 취소와 관련해 한국당은 이날 새벽 장제원 수석대변인의 이름으로 논평을 내고 "(회담 취소는) 소통 방식이 문제가 아니다"라며 "북한에 아직도 완전한 핵폐기 의사가 없다고 판단한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북핵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최고조로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미국의 정확한 진의를 파악하고 한반도 관련국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태안정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