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 수립
상태바
과기정통부,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 수립
  • 박효길 기자
  • 승인 2018.04.24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화·환경오염·한정적 자원 및 재난·재해에 선제적 대응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에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심의하고 확정할 계획이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매일일보 박효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에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심의하고 확정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미래소재란 미래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재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할 원천소재를 말한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초연결 지능사회로 빠르게 진화하고, 세계적 문제로 부상하는 고령화, 환경오염 및 한정적인 자원 및 재난·재해 등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원천소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원천소재는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20년 이상이 소요되고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한번 개발에 성공하면 신시장을 창출하고 장기간 시장선점이 가능하기 때문에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소재분야 해외 선진국에서는 미래사회를 선도할 소재개발 및 시장선점을 위해 장기적인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국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응용․개발연구에 집중 투자로 소재산업의 기술경쟁력은 높은 수준이나, 기초․원천연구에는 투자가 미흡하여 일부 핵심 첨단소재는 여전히 외국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 대응과 신산업 창출에 첨단소재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2015년부터 소재기술 혁신을 위한 정부정책을 수립해 왔으며, 이에 근거해 구체적인 중장기 세부전략을 마련했다.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메가트렌드인 초연결·초고령·지속가능·안전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기술적·사회적이슈를 선제적으로 대응하는데 필요한 30대 미래소재를 도출했다.

초연결 사회를 위한 스마트소재(8개), 초고령 건강사회를 위한 웰니스 바이오소재(9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변화 대응소재(5개),  재해·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위한 안전소재(8개) 등이다.

소재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70개 핵심소재를 선정하고, 100여명의 학연 전문가 그룹이 △미래요구 중요도 △미래요구 해결 기여도 △미래원천성 △국내 R&D 역량 △글로벌 리딩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했다.

미래소재의 원천기술 개발 성공가능성 제고를 위해 중장기 R&D 투자전략을 마련했다.

도전·경쟁형 R&D를 도입한다. 고위험․장기 R&D 특징이 있는 미래소재 개발은 정부가 연구비 전액을 지원하는 ‘미래도전 공공지원제(퍼블릭형)’를 원칙으로 하되, 미래소재의 가치를 공유하고자 하는 기업이 함께 협업하는 ‘미래가치 사전공유제(멤버십형)’를 도입한다.

연구혁신 인프라를 구축한다. 20년 이상 소요되는 기존의 소재연구 방식을 시행착오 최소화를 통해 개발기간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연구방식으로 전환한다.

담당업무 : 게임, 인터넷, IT서비스 등
좌우명 : 꼰대가 되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