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 뇌 인지 조절능력 떨어뜨려
상태바
스마트폰 중독, 뇌 인지 조절능력 떨어뜨려
  • 홍승우 기자
  • 승인 2017.10.09 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뇌기능 MRI 영상에서 갈등의 탐지와 조절에 관련된 뇌 속 ‘배외측전전두피질’과 ‘전대상피질’에서 상대적으로 저하된 뇌활성화가 관측된 모습. 사진=연구팀 제공

[매일일보 홍승우 기자] 스마트폰 중독이 사람 뇌의 조절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김대진 교수, 전지원 박사)은 9일 스마트폰 중독군 25명과 정상 사용군 27명을 대상으로 한 상대방 표정 변화(정서 차이)에 따른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관찰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각각의 실험 참여자들을 MRI 장치에 6~7분씩 누워있게 한 후 모니터 화면을 통해 다른 사람의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을 번갈아 제시했다.

스마트 중독군은 화난 얼굴이 제시된 후의 반응 정도(민감도)가 정상 사용군보다 떨어졌다.

특히 뇌기능 MRI 영상에서는 갈등의 탐지와 조절에 관련된 뇌 속 ‘배외측전전두피질’과 ‘전대상피질’에서 상대적으로 저하된 뇌활성화가 관측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군은 상대방의 얼굴 변화에 따른 정서전환이 일어날 때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좌측 상측두구’와 ‘우측 측두-두정 접합 영역’에서도 뇌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대인 관계 시 대화에 집중하지 못하면서 끊임없이 휴대전화를 만지작거리거나 문자메시지 또는 소셜 네트워킹 프로그램으로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려는 경향이 큰 스마트폰 중독자들의 현상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지원 박사는 “스마트폰 중독자를 대상으로 사회 정서와 관련된 뇌활성화의 변화를 실제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이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 김대진 교수는 “이번 연구가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만큼 잠재적 공중보건 이슈로 부각된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