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명은?
상태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운명은?
  • 이우열 기자
  • 승인 2017.05.23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창조경제혁신센터 관련 정책 기조 바뀔 전망 이어져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전국 17개 지역에서 18개 혁신센터가 운영 중이다. 사진=창조경제혁신센터 홈페이지 캡쳐

[매일일보 이우열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전 정부가 추진해오던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향후 향방을 두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4년 9월부터 각 지열별로 저마다의 특화사업에 초점을 맞춰 △벤처창업 허브 △중소기업 지원 △지역 혁신 기관의 거점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설이다.

현재는 △서울(CJ·문화) △인천(한진·물류) △경기(KT·IoT) △충북(LG·바이오) △충남(한화·태양광에너지) △세종(SK·ICT) △대전(SK·기술사업화) △전북(효성·탄소섬유) △제주(카카오·문화)  △광주(현대자동차·자동차) △전남(GS·농수산식품) △경남(두산·기계장비) △부산(롯데·유통) △울산(현대중공업·조선) △포항(포스코·에너지) △대구(삼성·IT) △경북(삼성·IT) 등 전국 17개 지역에서 18개 혁신센터가 운영 중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올해 1월 기준 △창업기업수 1713개 △신규채용 2547명 △매출 증가 2866억원 △투자유치 3718억원 등의 성과를 기록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주요 정책 중 하나였던 ‘창조경제’를 두고 현 정부의 해석이 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 출범 이전에도 업계 곳곳에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두고 ‘펀드 조성 과정에 있어 대기업들을 강제로 참여시킨다’, ‘중복사업이 많다’는 등의 지적들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최근 일부 정부 홈페이지에서는 ‘창조경제’ 심볼이 삭제됨에 따라 일각에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폐지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구하고 있다. 사진=창조경제혁신센터 홈페이지 캡쳐

다만, 문재인 대통령이 '일자리 대통령'을 내세웠던 만큼 혁신센터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데 업계 의견이 모인다. 문 정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국민 아이디어 창업 허브’로 개편해 18개 센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센터 운영 방식과 기능적인 부분들에 있어서 대대적인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데 무게가 쏠리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돼 있는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아직 정권이 교체된 지 얼마되지 않았을뿐더러 공식적으로 내려온 지침도 없는 상황으로, 센터 운영에 있어 전체적인 기조가 변경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벤처기업 육성 등 혁신센터 운영에 있어 다방면으로 좋은 점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현재 자사 측과 연계된 혁신센터는 잘 운영되고 있으며, 인력 파견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잇단 지적에 혁신센터 실무자들은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시설이 박근혜 전 대통령 정권하에 탄생했다는 이유만으로 직원들 역시 각종 논란들의 연장선상에 놓여져왔다는 것.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는 “사업 초기 경기도청, KT 대기업, 미래부 등 다양한 ‘갑’들 속에서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같은 힘겨루기는 잦아들었고 센터가 스타트업 지원기관으로 조금씩 변모해나가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곳에서 일하는 이들은 그저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업무를 위해 불철주야 뛰고 고민하고 있을 뿐”이라며 “생긴지 불과 2·3년된 센터들이 제대로 성장할 틈조차 없이 끊임없이 쏟아지는 비난들에 있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