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대우조선해양 ‘사실상 공기업’ 껍데기 벗어야
상태바
[기자수첩] 대우조선해양 ‘사실상 공기업’ 껍데기 벗어야
  • 최수진 기자
  • 승인 2016.06.12 1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산업부 최수진 기자

[매일일보 최수진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5조3000억원이라는 대규모 자구안을 마련한데 이어 대규모 수주에도 성공하며 경영정상화를 향한 시동을 걸었지만, 대우조선해양이 또 다시 위기상황에 내몰리지 않기 위해서는 ‘사실상 공기업’의 위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000년부터 산업은행 품에 안긴 대우조선해양은 최근까지 7조원이 넘는 공적자금과 국책은행 자금을 지원 받았다. 뿐만 아니라 산업은행이 대주주로서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에도 관여를 해왔다.

산업은행 품에서 대우조선해양이 견조한 실적을 기록한 적도 있지만, 대우조선해양은 끊임없는 구설수에 시달려야 했다. 바로 낙하산 인사 논란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11명 중 7명이 관피아, 정피아 출신이며,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7명 중 5명이 낙하산 인사일 만큼 대우조선해양 경영의 감시는 허술하게 이뤄져왔다.

높은 연봉을 받고 있지만, 이들은 조선 산업에 대해 이렇다 할 전문성도 갖추지 않고 있어 세계 조선 시장의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이 정부 손길이 닿는 산업은행 품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물론 대우조선해양의 매각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매번 대우조선해양의 매각을 추진해왔으나 이 회사가 잠수함 등 방산 산업에도 진출해 있어 쉽게 매각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매각을 차일피일 미뤄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분식회계, 경영진의 비리 의혹 등으로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의 수사도 받게 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의 낙하산 인사가 재조명되고 있는 것.

특히 검찰이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에 대한 산업은행의 묵인과 유착 등을 집중적으로 수사하면서, 낙하산 인사의 문제점이 직접적으로 수면위로 드러났다는 분석도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영정상화에 성공한다고 해도 관피아, 정피아 등 낙하산 인사로 방만 경영이 계속되고, 이에 따른 경영 부실을 공적자금으로 해결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면 대우조선해양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한국 조선 산업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대우조선해양은 LNG 연료 추진 선박 등 LNG선박 및 엔진, 재핵화설비 등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 다시 낙하산 인사로 인한 경영 비리로 얼룩져 기술력까지 그 빛을 바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