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자원개발’ 방안 논란···대기업 현 좌표는
상태바
‘해외 자원개발’ 방안 논란···대기업 현 좌표는
  • 김백선 기자
  • 승인 2016.05.26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기능 민간에 이관·매각···“현실성 떨어지는 개편안”

[매일일보 김백선 기자] 이명박 정부 때 무리하게 자원개발에 나섰다가 부실 덩어리가 된 에너지 공기업의 구조조정 방안이 논란이 되고 있다.

부실 규모가 가장 큰 석유공사는 자원개발에서 손을 떼고 이 기능을 민간에 넘기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열린 ‘해외 자원개발 추진체계 개편방안’ 산학연 공청회에서 이번 연구용역을 맡은 딜로이트 송태인 안진회계법인 전무는 “지난 2014년 이후 석유공사, 가스공사, 광물공사의 자산손상, 손익악화, 부채증가가 이어지고 있다”며 네가지 방안의 구조 개편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안에는 △석유자원 개발기능 민간 이관 △석유자원 개발 전문회사 신설 △석유공사 자원개발 기능 가스공사로 이관 △석유공사와 가스공사 통합 제안이 담겼다. 광물공사의 경우 광물 자원개발 전문회사를 신설해 관리하는 방안과 자원개발 부문을 아예 민간에 매각하는 방안도 담겼다.

보고서에는 일본과 중국의 에너지 공기업 사례와 유력 자원개발 기업 동향 등을 종합해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 사이에서도 민간자본 참여 확대와 지분 민간 매각이 세계적인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이처럼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선 것은 한국석유공사와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 등 3개 에너지 공기업이 올해 갚아야 할 빚이 8조원대에 이르는 등 전면개편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장기차입금을 합칠 경우, 차입금 규모는 총 46조5885억원에 이른다.

특히 석유공사의 지난해 단기차입금은 전년 1조2578억원과 비교해 165.5% 급증했다. 정권 차원에서 야심차게 추진한 자원개발에 따라 비싼 값에 해외 석유개발 업체와 광구 지분 등을 매입했다가 유가가 떨어지면서 뒤탈이 난 것이다.

하지만 정부의 계획과 달리 업계에선 이 방안을 두고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반응이 나온다.

저유가 상황에서 민간 매각 가능성이 낮고, 석유개발 사업을 진행하는 대표적 민간기업인 SK이노베이션과 GS에너지는 새로운 투자에 나서거나 인력을 넘겨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실제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관련 사업 비중을 크게 늘리는 중이고, 사우디 사빅과 중국 중한석화 등 글로벌 파트너링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광물개발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도 마찬가지다. LG상사는 지난해 자원‧원자재부문에서 95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3000억원을 해외자원개발 손상처리했다. 조직과 인력은 2014년 142명에서 지난해 9월 기준 130명으로 줄었다.

대우인터내셔널도 암바토비를 포함한 사업에서 1048억원의 손실을 입어 신규투자를 중단했다. 자원개발 전체 인원이 지난해 127명에서 135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광물자원본부 인원은 줄어 23명에 불과하다.

SK네트웍스도 자원본부를 대폭 축소시키고 트레이딩과 마케팅에 주력하는 반면 개발사업팀에서는 기존 사업에 대한 유지‧관리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영진 산업부 에너지산업정책관은 “꼭 발표된 4개 안 중에서 결정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며 “정부는 의겸수렴을 거쳐 상반기 중 관련 안에 대한 최종 결정을 마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