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대전, 끝났지만 후폭풍 여전
상태바
면세점 대전, 끝났지만 후폭풍 여전
  • 박동준 기자
  • 승인 2015.12.03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수료율 인상에 리베이트 금지 발안까지
폐점업체는 인력 재고처리 골몰

[매일일보 박동준 기자] 서울 시내 면세점 사업권 발표 이후 한 달 가량이 지났지만 업계 분위기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는 모양새다.

서울로 신규 입성한 업체들은 개장을 앞두고 브랜드 유치에 한창이고 아쉽게 특허 사업권을 잃은 곳은 재고 처리와 직원 거취 문제로 골몰하고 있다. 여기에 업계 전체적으로는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관세법 개정안이 연말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세법 개정안의 골자는 수수료율 인상과 리베이트 금지로 이들 이슈는 업계 판도를 뒤흔들 수 있어 관련업체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0월 새누리당 윤호중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홍종학 의원은 면세점 업계의 리베이트를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각각 제출했다.

현재 외국인 관광객을 면세점 업계에서는 두 종류로 분류해 구분하고 있다. 자유여행객(FIT, Free Individual Tour)과 여행사를 통한 그룹 여행객(GT, Group Tour) 두 종류로 이 중 GT에 대한 리베이트를 금지하자는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리베이트 금액은 업체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여행사·가이드가 관광객을 데려오면 이들 관광객이 지출한 금액의 20~30% 가량을 리베이트로 제공한다. 해당 모객행위를 통한 면세점 매출은 전체의 15~20%, 인천공항을 제외한 시내면세 매출의 35~40%으로 추산된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매출 대비 리베이트 비중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관세청에 따르면 대기업 면세점의 리베이트 규모는 2011년 전체 매출의 2.8% 수준이었지만 지난해는 7.1%인 5175억원을 기록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면세점 매장 중 매출액 3위를 차지했던 롯데월드몰의 경우 대부분의 매출이 GT에서 발생했다”며 “롯데면세점의 경우 소공점은 FIT들이 선호해 GT를 롯데월드몰로 몰아줬다”고 귓뜸했다.

면세점 특허수수료율 인상 추진 역시 업계의 공통된 관심사다.

현재 국회에서는 면세점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폭에 비해 수수료는 면세점 매출의 0.05%, 중소·중견기업은 0.01%로 이익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낮다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면세점이 특허산업으로 정부 차원에서 진입장벽을 규제하고 있지만 이들 기업들이 정부 세입에는 기여하는 정도가 낮다는 것이다.

홍 의원은 특허수수료를 기존에 비해 100배(대기업 5%, 중소·중견기업 1%) 올린 법안을 제출해 지금 논의 중이다.

관련업계는 수수료 인상에 대해 이미 어느정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상태다. 다만 인상폭을 최대한 억제하는 선에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이홍균 롯데면세점 대표 지난 10월 인천공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수료 관련 “(면세점 업체가)경쟁력을 잃지 않는 선에서 정해주시면, 업계가 따라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지난해 4조2170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지금 논의되는 관세법이 그대로 통과된다고 가정하면 2108억원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이는 지난해 영업이익 4083억원의 절반이 넘는 수준이다.

이와 별개로 이번 특허권 심사에서 아쉽게 탈락한 업체들은 재고처리와 직원 고용 관련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SK네트웍스 워커힐면세점과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은 각각 600억원과 2000억원이 넘는 재고물량을 처리해야 한다. 만약 폐점 시까지 해당 재고물량을 소진하지 못하면 전부 관세청에 넘어가 소각 처리돼 어떻게든 처분해야 한다.

최근 양사는 최대 80%에 달하는 할인행사를 진행 중이다. 해당 업체들은 정기세일로 밝히고 있지만 재고처리 차원의 폭탄세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고용승계도 문제다. 롯데그룹의 경우 롯데월드타워점 직원 100%를 그룹 내 계열사에서 전부 수용하기로 밝혔지만 SK네트웍스의 경우 900여명에 달하는 직원 처리를 두고 고심 중이다.

신규 진입 사업자들이 해당 사업장 인력들을 최대한 연계 고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이뤄질 지는 장담할 수 없다.

신규 업체들은 명품 브랜드 유치로 정신이 없다. 신세계의 경우 기존 백화점 내 명품관에서 쌓은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 브랜드 유치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두산의 경우 이들 명품업체와의 연줄이 미약해 어느정도 성과를 낼 지 미지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