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참극’에 대처하는 朴대통령의 자세
상태바
‘인사 참극’에 대처하는 朴대통령의 자세
  • 한아람 기자
  • 승인 2014.07.08 14: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정치부 한아람 기자

[매일일보 한아람 기자]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맡았던 김용준, 전 국무총리이자 현 국무총리인 정홍원, 국민검사로 불리던 대법관 출신의 안대희, 중앙일보 주필를 지낸 기자 출신의 문창극.

박근혜 정권이 임기의 반을 채우기도 전에 행정부의 2인자라 불리는 국무총리 후보 자리에 오르내린 총 4명의 명단이다.

4명 중 3명은 자녀병역 면제 의혹·전관예우·극우 역사관 등의 결함이 낱낱이 드러나 청문회장은 밟아보지도 못하고 총리 후보직을 사퇴했다. 나머지 1명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으로 국무총리직에 사의를 표했으나, 거듭되는 청와대의 인사 난항으로 ‘도로’ 총리자리에 앉았다.

지난 정권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보기 드문’ 인사 이력이다.

‘인사 참사’를 넘어 ‘인사 참극’으로까지 번진 이번 사태에 대한 박 대통령의 대처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박 대통령은 인재풀 ‘확대’가 아닌 인재 찾기 ‘포기’를 선택했다. 연이은 총리 후보들의 낙마에 청와대의 인사검증시스템 가동을 멈추고 결국, ‘정홍원 재활용’을 결정한 것이다.

문제는 박 대통령이 반려한 정 총리의 사의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사퇴’였다는 점이다.

즉, 과정이야 어찌됐든 결국 미흡한 초동대응으로 수 백명의 희생자를 낸 정부의 잘못을 책임 진 이는 단 한명도 없게 된 것이다. 이는 더 이상 나올 눈물조차 없는 유가족들을 다시 한 번 울리기에 충분했다.

박 대통령은 인사 문제에 대해 ‘국회 탓, 제도 탓’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청문회에 가기도 전에 개인적 비판과 가족문제가 거론되는 데 어느 누구도 감당하기 어렵고, 높아진 검증 기준에 맞는 인물을 찾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며 청문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 문제의 원인을 ‘제도 탓’으로 돌렸다.

제도상의 문제는 부차적인 원인이다. 근본적인 원인은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제한된 인재풀, 미흡한 청와대 검증시스템에 있음을 인정한 후에 부차적인 원인을 지적해야 할 일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최대 약점으로 꼽힌 것은 ‘소통과 인사’ 문제이다. 이는 자신과 생각이 다른 이들의 의견에도 귀를 열고 경청해야 한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한다.

근본적인 원인 진단 없이 시끄럽다는 이유로 인사난맥을 ‘유임 카드’로 덮어버리거나, 까다로워진 청문회 기준을 운운하며 ‘제도 탓, 국회 탓’으로 책임을 전가하는 태도는 이 같은 박 대통령의 약점만 부각시킬 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