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레미콘업계, 시멘트發 가격 인상 우려 확산
상태바
불안한 레미콘업계, 시멘트發 가격 인상 우려 확산
  • 신승엽 기자
  • 승인 2024.03.26 10: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년간 시멘트 가격 42% 상승…건설사와 ‘충격’ 분담도
“착공 물량 감소 등 수익성 악화 요소 내세워 사전 작업”
수도권의 한 레미콘공장. 사진=연합뉴스
수도권의 한 레미콘공장.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신승엽 기자  |  레미콘업계가 시멘트 가격 인상 가능성이 감지되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레미콘업계는 올해도 원자재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주요 원재료인 시멘트 가격이 급상승했기 때문이다. 핵심 연료(유연탄) 가격이 안정화됐음에 불구하고, 판매가격을 올린 상황이다. 올해 시멘트 출하량 축소 전망엔 가격 인상을 위한 사전작업이라고 비판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시멘트업계는 지난해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쌍용C&E를 제외한 한일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성신양회, 삼표시멘트 등 주요 업체가 모두 전년 대비 상승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일시멘트 2466억원(109% 상승) △한일현대시멘트 480억원(36%상승) △아세아시멘트 1468억원(24.5% 상승) △성신양회 733억원(3899% 상승) △삼표시멘트 847억원(19.1%) 등이다.

수익성 확대 배경에는 가격 인상과 폐기물 활용 등이 꼽힌다. 2021년 t당 7만8800원이었던 시멘트 7개사 평균 가격은 2023년 t당 11만2000원으로 3년 사이 42%나 상승했다. 주요 수요처인 건설‧레미콘업계의 반발이 나왔음에 불구하고, 인상을 강행한 결과다. 당시 건설‧레미콘업계는 납득하기 어려운 수준의 인상폭이라고 주장했다. 

시멘트 가격 인상에 비롯된 가격 인상 충격은 두 업계가 분담했다. 수도권 레미콘업계는 최근 건설업계와 납품단가 5.6% 인상에 합의했다. 구체적으로는 1세제곱미터(㎥)당 5000원 오르며, 기존 8만8700원에서 9만3700원으로 상승했다. 해당 협상은 침체기를 겪고 있는 두 업계가 서로 한 발씩 양보해 도출한 결과물로 평가받는다. 

두 업계의 양보로 충격이 분담됐지만, 올해도 시멘트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중소레미콘업계 관계자는 “시멘트업계는 올해 착공 물량 등의 전망치를 두고 여건이 어려울 것이라고 목소리를 낸다”면서 “출하량 감소와 환경규제 강화까지 맞물려 수익성 유지 차원에서 가격을 인상하기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폐기물은 시멘트업계에게 ‘황금알을 낳는 거위’다. 대외 환경 변화로 변동폭이 큰 주연료 유연탄을 일부 대체할 수 있고, 처리할 경우 일정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환경기초시설업계에서 설정된 적정 가격을 붕괴시키며, 반발을 불러왔다. 결국 환경부는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고, 시멘트업계 스스로 발목에 족쇄를 채웠다는 평가다. 

실제 시멘트업계의 환경관련 투자는 5208억원에 달한다. 시멘트업계의 설비투자 비용은 2019년(2428억원)부터 매년 급증했고, 이번 환경부의 규제 강화로 속도가 오르는 추세다. 현재 발생하는 이익으로는 설비투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만큼, 관련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판매 가격을 추가적으로 인상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중소레미콘업계는 시멘트사의 수익성이 확대됐기 때문에, 업계 간 파트너십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자초한 일을 바탕으로 발생한 비용을 더 이상 거래업체에게 전가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중소레미콘업계 관계자는 “레미콘업계는 건설사와의 납품단가 협상을 마무리했지만, 근본적인 원자재(시멘트) 문제를 해결했다고는 볼 수 없다”면서 “이미 건설‧레미콘업계가 시멘트 가격 인상 충격을 분담하고 있는 가운데, 시멘트업계의 일방적인 가격 인상은 파트너십이 결여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담당업무 : 생활가전, 건자재, 폐기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좌우명 : 합리적인 사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