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해외수주 400억불 달성목표 우려… 사업 다각화 전략 필요
상태바
[기획] 해외수주 400억불 달성목표 우려… 사업 다각화 전략 필요
  • 나광국 기자
  • 승인 2024.03.24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동·유럽 이외 지역서 해외수주 부진
해외수주 400억달러 정부 목표 ‘적신호’
“지역·사업분야 및 수주 환경 개선 필요”
사진=픽사베이 제공
연초 대형건설사들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제시한 올해 해외 수주 목표에 경고등이 켜졌다. 전문가들은 지역·사업 분야에서의 다각화뿐 아니라 수주 환경 개선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사진=픽사베이 제공

매일일보 = 나광국 기자  |  올해 두 달여간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액이 전년동기 대비 급감하면서 연간 목표액 400억 달러(52조4440억원) 달성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전문가들은 연초라는 점에서 아직 속단하긴 이르다는 평가와 함께 중동 외 다양한 국가와 분야로 사업을 다각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24일 국토교통부 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중동과 유럽의 건설 수주액은 전년대비 각각 209.5%, 375.5% 증가했다. 하지만 태평양·북미(-89.0%), 아프리카(-96.7%), 중남미(-73.4%), 아시아(-30.6%) 등에서 수주액이 동시에 급감했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 수주액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조4546억원 줄면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올해 해외 수주 목표로 제시한 400억달러의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관측마저 나온다. 지난해 정부는 350억달러를 목표치로 제시했으나 최종 333억1000만 달러를 기록해 목표치 달성에 실패한 바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목표액에 집중하기보다 어떤 수주를 하는지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1~2월 실적만 보고 올해 목표액을 거론하는 것은 이르며 공사 발주라는 게 12개월로 나눠 동일하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 “수주 목표액은 사업 계획일 뿐,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고, 숫자를 맞추겠다고 무리하게 수주하면 오히려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선별적인 수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 회장)도 “아직 2월까지 나온 통계로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 달성 여부를 속단하기 이르다”면서도 “기존 단순 토목건축에 집중된 해외건설 수주 구조를 고부가가치 위주로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건설업계에서도 중동 대형 프로젝트 수주와 함께 원전·신재생·투자개발 등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방침이다. 특히 스마트시티 개발 프로젝트를 눈여겨보는 곳도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건설사가 저가 수주로 큰 곤욕을 치른 이후 선별 수주를 지향하고 있는데, 기존 수주에 강점을 보였던 플랜트 외에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힘쓰고 있다”며 “정부가 스마트시티 등 사업 발굴에 관심을 표하면서 일부 건설사가 관련 시장 파악 등에 다시 나섰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우리 기업이 강점을 가진 스마트시티 서비스 분야를 선제적으로 메뉴얼화하고, 전략 국가·사업 선정 및 종합 지원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지화와 같은 맥락에서 수익성이 낮은 단순 도급 방식 수주가 아닌 투자개발형 사업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해외건설 수주 실적에 관한 고찰과 향후 방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외건설 수주액 중 도급형 비중은 지난해 95.6%에 달한다. 반면 개발형 비중은 지난 2021년 10.1%를 기록한 뒤 2022년 3.3%, 작년 4.4%로 다시 뒷걸음질 쳤다.

아울러 주요 수주 경쟁국인 중국과 일본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막대한 규모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기반으로 해외 시장에서 사업을 따내고 있다. 다수 건설기업이 공기업인 중국은 저가 수주를 통해, 일본은 현지화와 기업 금융 경쟁력 우위를 내세워 해외 건설 입지를 굳히고 있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 등 신흥국 기업과 비교해 국내 기업들은 가격경쟁력에서 열위와 기술격차 축소 등으로 도급형 사업에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투자개발형 사업으로 진출한 기업이 많지 않은 상태고, SK에코플랜트와 GS건설 등을 제외하면 올해 수주 실적이 미미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 필요성과 함께 수주환경 전환을 위한 중장기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서진형 교수는 “현재 대형 프로젝트 위주의 해외수주를 중심으로 수주 국가 확대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며 “중소건설사 해외 진출에 대한 금융지원뿐 아니라 정부가 먼저 해외 발주자와 국내 건설사가 교류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도 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업 다각화라는 것은 단순히 비주택 분야 수주와 여러 나라에서 수주를 의미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급형 수주 위주의 수주 환경 및 체질 개선도 포함된다”며 “보수적인 수주환경에서 변화를 위해선 정부 차원의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