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집 못하는 스마트홈…갈 길 먼 ‘리빙산업’
상태바
결집 못하는 스마트홈…갈 길 먼 ‘리빙산업’
  • 신승엽 기자
  • 승인 2024.03.13 1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시장 관심도 상승 불구 협력체계 ‘지지부진’
건설‧가전‧가구 등 주도권 경쟁으로 시너지 부족
스마트홈 시장이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업체별 협력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스마트홈 시장이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업체별 협력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매일일보 = 신승엽 기자  |  리빙산업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가 높아졌지만, 최종형태인 스마트홈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됐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홈 산업이 기대치보다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거주공간과 가전, 가구 등 제품별 스마트기능을 갖춘 사례는 나타나고 있지만, 하나로 통합하지 못한 결과다. 리빙산업뿐 아니라 통신 관련 역량까지 갖춰야 스마트홈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 내 협력체계가 요구된다. 다만 아직 경쟁자라는 인식이 존재한다는 이유로 협력이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스마트홈은 거주공간의 첨단화를 뜻한다. 외부에서도 실내 가전 및 가구를 작동할 뿐 아니라 수면패턴까지 기계가 분석하는 등 입주자의 거주 환경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 업종별로는 건설, 통신, 가전, 가구 등 업체에서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이다. 

시장의 잠재력도 높다.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의 ‘국내 스마트홈 시장 규모 추이’에 따르면, 작년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100조4455억원으로 집계됐다. 내년까지 연평균 8.4%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여러 업종이 진출 가능하다는 사실은 과열 경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어진다. 모든 가전 및 가구를 통제 가능한 관제 프로그램 및 공간이 없을 경우 궁극적인 스마트홈의 개념에서 벗어나기 때문이다. 실제 각 업체들은 각자 제품만 조작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가전 영역만으로도 통합이 어려운 상황이다. 거주공간에 들어서는 대표적인 가전으로는 TV, 냉장고, 에어컨, 보일러,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해당 제품군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대기업뿐 아니라 중견기업의 제품까지 포함된다. 제품 원격조작의 경우 업체별 협업이 이뤄져야 가능한 영역으로 분류된다. 

건설사들은 관련 시장을 주도권을 차지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거주 영역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졌다. 자체적인 공간 조성 능력을 바탕으로 스마트홈 시장의 주축이 되겠다는 포부다. 다만 하드웨어 외에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통신업체들과의 협업이 필요하다. 

가전 부문에서는 월패드 형태의 관제 시스템을 선보인 바 있다. 실내 가전들을 하나의 기기로 작동 가능한 형태의 제품이다. 다만 해당 제품군도 타 브랜드의 가전까지 아우르지 못하는 상황이다. 각 사의 브랜드 제품만 작동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해당 영역에서도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업계는 스마트홈 시장의 발전을 위해 업체별 협력이 두터워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종산업 융복합 시대가 다가왔음에 불구하고, 스마트홈 시장에서는 업종‧기능별 통합이 이뤄지지 않는 분위기”라며 “주도권 경쟁도 중요하지만, 뭉쳐야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담당업무 : 생활가전, 건자재, 폐기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좌우명 : 합리적인 사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