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재 한가득…레미콘업계, 선행지표 침체에 울상
상태바
악재 한가득…레미콘업계, 선행지표 침체에 울상
  • 신승엽 기자
  • 승인 2024.02.26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 인허가와 착공 하락세로 반등 어려워
실제 실적과 직결 우려…“SOC 현장 늘려야”
수도권의 한 레미콘 공장. 사진=연합뉴스
수도권의 한 레미콘 공장.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신승엽 기자  |  건설·부동산 시장 침체기에 레미콘업계가 울상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업계가 건설업계와의 협상을 마무리한 이후에도 여전히 악재가 남아있다. 건설 부문의 장기지표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원재료(시멘트) 가격 상승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레미콘업계 전반적인 충격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레미콘은 시멘트와 골재(모래 등), 물 등을 섞어 만들어지는 콘크리트다. 기초 공사부터 투입되는 기초골재인 만큼, 건설현장에 반드시 필요한 자재 중 하나다. 외벽뿐 아니라 내벽에도 사용되고, 건설 전 단계에 사용된다. 공사 현장이 늘어나면, 매출도 확대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통상 레미콘업계의 선행지표로는 주택 인허가와 착공물량이 꼽힌다. 레미콘 시장은 인허가를 기반으로 기대 수요를 예상할 수 있으며, 착공에 돌입해야 본격적인 수요가 발생하는 구조다. 인허가 이후 3~5년, 착공 2~3년 후 주택공급이 이뤄진다. 레미콘 수요뿐 아니라 장기적인 주택 시장의 지표로도 활용된다. 

전방산업(건설업)의 선행지표는 지난해 침체기를 나타냈다. 국토교통부의 ‘2023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누계 주택 인허가는 38만8891가구로 전년보다 25.5%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가 작년 만큼 감소한 사례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33.2% 감소) 이후 15년 만이다. 

같은 기간 착공도 급락했다. 지난해 1~12월 착공은 20만9351가구로 전년보다 45.4% 줄었다. 수도권 착공이 10만5286가구로 43.5%, 지방은 10만4065가구로 47.2% 감소했다. 아파트 착공(17만114가구)은 43.1%, 비아파트(3만9237가구)는 53.5% 하락했다. 작년 12월에는 주택 인허가와 착공이 늘었지만, 전체적인 시장의 반등을 견인하지 못했다. 

착공 물량 하락세는 레미콘 출하량 감소에도 반영될 전망이다. 한국레미콘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출하량은 1413만㎥로 전년보다 3.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은 2021년보다 34.3% 감소한 38만3404세대로 집계됐다. 올해 착공물량이 회복하지 못하면, 레미콘업계의 침체기가 더욱 길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학계에서도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2022년 하반기 이후 건설 선행지표로 인식되는 건설 수주, 건축 허가, 착공, 분양 등 모든 지표가 역대급 부진을 이어가고 있다”며 “통상 건축 착공이 2~6분기까지 선행한다는 점에서 2024년부터 건설물량 감소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업계에서도 선행지표의 변화를 파악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레미콘업계는 주택 인허가와 착공 지표가 실제 실적과 직관적으로 이어진 만큼, 예민하게 반응한다”며 “작년의 경우 12월만 눈에 띄는 상승세를 기록해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해 인허가 및 착공을 늘리겠다고 발표했지만, 현실적으로 체감 가능한 반등이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공적 물량을 확대하려면, 대형 SOC 현장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해야 레미콘업계의 충격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담당업무 : 생활가전, 건자재, 폐기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좌우명 : 합리적인 사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