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증시 투자자 이탈 가속…‘역대급 부양책’도 안 먹혀
상태바
韓中 증시 투자자 이탈 가속…‘역대급 부양책’도 안 먹혀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4.01.31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스피 美와 디커플링...중국과는 동조화 현상 심화
中 경기침체에 韓 기업실적도 발목...투심 악화일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4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4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한국 증시가 중국과 동조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새해 들어 고공행진하는 미국과 일본 증시와 달리 한국과 중국만 부진의 늪에 빠지면서 이같은 진단이 쏟아지고 있다. 올해도 중국 경기 전망에 먹구름이 끼자 한국 기업들의 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이 투심에도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나날이 고공행진 중인 미국·일본 증시와는 달리 한국과 중국 증시는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의아한건 양국 정부가 모두 증시부양책을 속속 꺼내들고 있는데 정작 효과가 없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코스피는 미국 증시와 연동되는 성향이 강했다. 하지만 지난 12월부터 이와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발생, 중국과의 상관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의견이다. 특히 중국이 한국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인만큼, 중국의 경기 회복 여부가 국내 시장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국내 시장이 본격적인 상승 동력을 얻기 위해선, 중국쪽에서의 추가적인 호재가 먼저 발생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국내 증시의 경우 그동안 새해 시작과 함께 날아들던 ‘까치랠리’(1월 상승 효과)까지 사라지면서 시장 상황은 더 어려워지고 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0.07% 하락한 2492.70으로 마감했다. 이로써 코스피는 올해 들어서만 6.1% 하락했다. 반면 미국과 일본 증시는 승승장구하고 있다. 미국 S&P 500지수는 지난 30일까지(한국시간) 5거래일 연속 사상최고치를 경신했고,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지난 22일 3만6546.95(종가기준)까지 치솟으면서 33년 11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미국과 상승세를, 한국은 중국과의 하락세를 함께 타는 모습이다. 미·일 증시 행보와 달리 국내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원인은 중국 영향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래서 부진한 중국 경기를 국내 증시의 대외 악재 요인으로 꼽는 분석이 많다. 국내 증시 상승의 가장 중요한 수급 주체가 바로 외국인 투자자인데 중국 증시가 흔들리자 신흥국에 엮인 다른 국가들에 대한 투심도 위축됐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한 운용역은 "이머징 마켓에서 중국 비중이 줄었지만 그래도 여전히 가장 큰 상태"라며 "중국의 부진 자체가 신흥국 매력을 전반적으로 낮춘 것 같다"고 말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경기는 중국 경제와 많이 엮이다 보니 중국 실물경제 하락 충격에 국내 기업의 실적 회복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본 것"이라며 "중국 12월 주택 가격은 전월대비 0.45%를 내리면서 중국 부동산 우려도 커지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와 달리, 일본은 대미 수출이 호전세가 부각되면서 자동차, 반도체, 기계업체 업종들이 수혜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한국과 중국 정부 모두 올해들어 다양한 증시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대표적으로 금융투자세(금투세) 폐지를 추진한다. 금투세는 주식 등 금융투자로 얻은 연간 차익이 5000만원을 넘을 시 해당 수익의 20∼25%를 부과하는 세금이다. 만약 시행된다면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이탈이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었다. 

증권 거래세율도 낮출 예정이다. 지난해 0.2% 낮춘 것에 이어 본래 예정대로 올해 0.18%를 적용, 내년까지 0.15%로 내린다는 방침이다. 또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지원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연간 2000만원, 총 1억원이었던 납입한도를 연 4000만원, 총 2억원으로 상향한다. 배당·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한도는 현행 2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2.5배쯤 올린다. 

중국은 막대한 재정을 쏟아붓는 부양책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지급준비율 인하 소식이 있었다. 판궁성 인민은행(PBOC) 총재는 다음달 5일부터 지준율을 0.5%포인트 인하해 1조 위안의 장기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지준율은 각 금융회사가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자금 비율을 말한다. 지준율이 인하되면 시중에 돈이 풀리는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증시 안정기금으로 2조위안(약 371조원)이 투입된다는 외신 보도도 있었다.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이전의 시도가 부족하자, 리창 총리가 '강력한' 조치를 촉구한 후, 침체된 주식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양국 증시 상황은 아직까지 잠잠하다. 전문가들은 현재 호재로 여겨지는 중국 정책 기반 효과가 2분기 중후반이 되야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책 발표가 나와야한다는 설명이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통화 정책과 증시 안정을 위한 정책만 나왔고 재정 정책은 본격적으로 나온 게 없다"며 "재정정책이 나와야 중국 경기 반등이 빨라질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우리나라 시장도 영향을 받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