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짠 곳에서 성장’ 비에너티아, 배추에 적용해 내염성 확인
상태바
‘짠 곳에서 성장’ 비에너티아, 배추에 적용해 내염성 확인
  • 전승완 기자
  • 승인 2024.01.12 15: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걸프만 습지에 서식 중인 식물 유전체 해독해, 내염성 작물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

매일일보 = 전승완 기자  |  농촌진흥청은 걸프만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 ‘비에너티아’의 유전체를 해독한 후, 비에너티아가 가진 내염성 유전자 HKT1의 특성을 분석하고 배추에 적용해 배추의 내염성을 키우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내염성은 높은 염분 농도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뜻한다. 최근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높아지며 토양 내 염분의 농도가 올라, 세계적으로 내염성 작물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의 분석 결과, 식물을 연구할 때 많이 이용하는 애기장대에는 내염성 유전자 HKT1가 1개 있으나, 비에너티아에는 모두 3개(HKT1;1, 2, 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유전자는 칼륨 수송체로서 세포 내 과잉된 소금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애기장대의 HKT1와 비에너티아의 HKT1;1은 발현 특성이 거의 비슷했지만 HKT1;2, 3은 염분 농도에 따라 각각 최대 4,000배, 150배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에너티아는 3주간 300밀리몰(mM) 염 용액에서도 성장했지만, 애기장대는 2일간 같은 양의 용액에서 노랗게 변색 후 죽었다. 특히 비에너티아는 염분이 없을 때보다 100밀리몰 염 조건에서 더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HKT1 중 염 조건에 가장 높게 발현했던 HKT1;2를 배추에 적용한 후, 염 농도 150밀리몰에 7일간 노출했다. 일반 배추는 노랗게 말라 죽어갔으나, HKT1;2를 적용한 배추는 뿌리로 들어오는 소금을 뿌리 세포 내 액포에 저장하고, 잎에서 남는 소금은 뿌리 밖으로 배출해 잘 자랐는 것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Froniters in plant science (IF=6.627)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현재 이 유전자를 적용해 2세대 벼를 키우고 있으며, 1세대 벼는 배추보다 높은 내염성을 보인 바 있다.

농촌진흥청 유전체과 권수진 과장은 “최근 기후변화의 심화로 내염성 작물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내염성 작물 개발의 기초 자료를 확보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