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창업동아리와 창조경제
상태바
[기자수첩]창업동아리와 창조경제
  • 배나은 기자
  • 승인 2014.01.19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현재 활동 중인 대학생 창업동아리는 190개 대학, 1833개다. 지난해 대비 50%(611개) 급증한 수치다. 활동 학생 수도 24.6%(4436명)늘어났다.

정부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대학생 동아리를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삼고자 정부가 자금 지원을 비롯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한 영향이라고 자평했다. 청년창업을 촉진해 벤쳐기업을 늘려 경제 성장도 늘리고,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청년 취업난을 해결해 보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창업 독려 외에는 별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와중에 취업난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올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의 채용 예정 인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감소했다. 중소기업 채용 역시 올해는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들의 창업은 ‘아름다운 도전’이 아닌 등 떠밀려 선택한 생존경쟁의 장이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창업 시도에 대한 지원은 확대되고 있는 반면, 창업을 시도한 이후, 이들을 보호할 지원책과 사회적 안전망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벤처기업수(예비벤처 포함)는 2만9044개에 달하지만, 이 벤처기업들 중 벤처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벤처확인 요건을 충족한 벤처투자기업수는 같은 기간 702개에 불과하다. 벤쳐기업 붐이 일기 시작한 2001년 말 대비 50% 이상 감소한 수치다. 벤처투자자들이 투자위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투자를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백흥기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정책연구실장은 “기업을 만드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니며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느냐가 문제”라며 “창업을 활성화하고 벤처를 만드는 정책에 머물지 말고 그들이 지속할 수 있게 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사회에서의 ‘도전’은 심할 경우 도전자를 빠져나올 수 없는 나락에 빠트린다. 개인의 용기와 희생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이제는 정부가 사회적 안전망 구성에도 적극 나서야 할 시간이다. 그리고 그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창조경제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