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스마트 팩토리 도입 후 AS 대책 필요”
상태바
[기획] “스마트 팩토리 도입 후 AS 대책 필요”
  • 김혜나 기자
  • 승인 2023.10.03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비 담당 인력 배정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도입 지원 후에도 사후관리 필요성 증대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기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AS 시스템을 일부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제공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기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AS 시스템을 일부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제공

매일일보 = 김혜나 기자  |  스마트 팩토리 도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AS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로봇 및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의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생산성을 높이는 공장이다. 센서 및 카메라 등 IoT 솔루션을 이용해 공정 상황 및 제품의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누수나 합선 등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을 감지해 관리자에게 보고하거나 대응 장비를 가동하는 자동화 기능도 갖췄다.

정부도 스마트 팩토리 도입에 힘썼다. 윤석열 정부는 그간의 스마트 팩토리 사업이 양적 확대에 집중됐다고 판단, 전수조사를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도입에는 오랜 기간 손질을 거친 만큼 완성도가 높아졌지만, AS 부문은 개선이 필요하다. 도입 이후 설비 고도화 등 사후 관리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실제 로봇 도입 기업의 경우 AS비용이 많이 든다는 불만을 제기한 바 있다. 또한 로봇의 가벼운 고장이나 부품 교체, 청소 등을 전담할 인력이 보장돼야 로봇 및 시스템 가동율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특히 고도화된 설비일수록 작은 고장으로도 큰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사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도 스마트 팩토리 사후관리를 탄탄히 한다는 계획이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난달 18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그간 중소기업의 역량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지원해 왔던 정책 틀을 탈피해 기업 역량에 따른 맞춤 지원과 지원 후에도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기업 제조혁신 성과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자동설비를 도입한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자동설비를 도입한 이후 제품의 품질이 일정해졌고, 생산량도 늘었지만 간혹 고장이 날 경우 공장이 아예 멈춰버리는 불상사는 항상 존재한다”며 “그만큼 사전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지만 고장이 발생하면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1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95.5%가 정부의 스마트공장 지원이 지속돼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중소기업 제조경쟁력 확보를 위해 스마트공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93.6%에 달했다. 스마트공장 지원이 확대돼야 하는 이유로는 △지속적인 제조혁신을 위한 고도화 필요(91.2%)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분위기 지속(60.6%) △안전한 일터 구축(32.6%) 등이 꼽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