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학교 앞 문구점… 생계형 적합업종 재지정해야
상태바
사라지는 학교 앞 문구점… 생계형 적합업종 재지정해야
  • 김혜나 기자
  • 승인 2023.03.28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형마트와 유통업체에 밀려 경영난 가중
연간 폐업 점포 500여개 달해 지원 절실
학교 주변의 문구점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으며 사라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강빛초등학교 입학식. 사진=연합뉴스 제공
학교 주변의 문구점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으며 사라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강빛초등학교 입학식. 사진=연합뉴스 제공

매일일보 = 김혜나 기자  |  학교 주변의 문구점이 사라지면서,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이후 통계청의 자료는 없으나 지난해를 기준으로 전국 문구점 혹은 문구소매점 수는 8000~8500곳에 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12년엔 전국 문구점 수가 1만4731곳이었다. 2017년 1만620곳에서 2018년과 19년 들어 각각 9826곳, 9468곳으로 줄어들었다.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협동조합)에 따르면, 해마다 500개 소매 문구점이 문을 닫고 있다.

문구점의 쇠락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창궐 당시 온라인 수업으로 대거 전환되며 등하교 학생이 적어져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서울 금천구에서 소규모 문구점을 운영하는 상인은 “코로나19 당시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가게 문을 열어놔도 학생들이 거의 찾아오지 않는 수준이었다”며 “대면등교 시작 이후로 조금 늘긴 했지만 예전만큼 매출이 나오지 않고 경영난은 갈수록 악화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학령인구 감소 외에도 업계에서는 지난 2011년부터 시행된 교육청의 ‘학습준비물 지원 제도’를 원인 중 하나로 꼽고 있다. 학습준비물 지원제도란 교과과정에서 필요한 학습준비물을 학교에서 구매해 학생에게 제공하는 제도다.

제도 시행에 따라 일선 학교 측은 학습용 준비물 상당수를 최저가 입찰로 일괄 구매해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이에 학생들이 문구점에서 구매하는 준비물이 적어지며 결국 수요 자체가 줄었다는 분석이다. 업주들은 학생 수의 감소에 해당 제도까지 맞물려 문구점 경영을 어렵게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러한 상황에도 문구소매점의 중소기업적합업종 지정은 지난해 7월 말 만료됐다. 협동조합은 앞서 ‘문구소매업생계형적합업종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지난해 11월 8일에는 동반성장위원회 앞에서 ‘문구소매업 생계형적합업종 지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도 열었다. 같은 달 15일에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사라지는 문구점 이대로 둘 것인가?’라는 주제로 공개토론회를 열고 “문구소매점 생계형적합업종 지정만이 그나마 남은 문구점을 지키는 길”이라고 촉구했다.

대형유통업체와 마트 등이 문구시장 확대에 나선 것도 원인으로 지목했다. 저렴한 가격에 문구용품을 파는 대형 문구·생활용품점이 우후죽순 생겨나 학교 앞 문구점 폐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