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수뇌부 엇박자에 백신 접종률 저조… "제조사·국민 부담 커진다"
상태바
韓수뇌부 엇박자에 백신 접종률 저조… "제조사·국민 부담 커진다"
  • 이용 기자
  • 승인 2022.11.24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尹대통령, 개량 백신 접종 아직… 시기적으론 접종 대상
美바이든, 10월 개량 백신 접종 완료… 백악관, 국민 참여 유도
정치권, 백신 부작용으로 책임 공방… 백신 제조사 개발 의욕 감소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지난 14일 충북 청주시 하나병원에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화이자 개량 백신을 추가 접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지난 14일 충북 청주시 하나병원에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화이자 개량 백신을 추가 접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용 기자] 올겨울 코로나19 재유행을 대비해 방역당국·전문가들이 백신 추가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대통령 등 고위 공무원들이 추가 백신 접종을 하지 않고, 정치권은 백신을 정쟁도구로 활용해 백신 제조사와 국민만 불안에 떨고 있다.

24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당일부터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지 90일이 지났다면 개량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겨울철 추가접종의 접종 간격을 4개월, 120일에서 3개월, 90일로 단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과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재유행 위험을 감소시키고, 중증화를 억제한다며 백신 접종을 적극 권유하는 중이다. 정부는 지난 21일부터 4주 동안을 개량 백신 집중 접종 기간으로 지정하고, 국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 한덕수 국무총리,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은 마지막 접종 후 4개월이 지나 시기적으로 접종 대상이지만 아직 개량 백신 추가 접종을 하지 않았다.

현재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부작용 논란이 지속되고 있어 국내 접종률은 타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상태다. 대통령 등 국가 수뇌부가 접종을 받지 않은 채 국민의 접종을 유도하는 것은 명분이 부족한 셈이다.

미국처럼 대통령부터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백악관에서 개량 백신을 맞는 행사를 진행·공개했다. 또 방역기관이 아닌 백악관에서 직접 연말까지 6주 동안 미국인들에게 코로나 개량 백신을 접종하도록 촉구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정치권은 백신 접종을 정쟁 도구로 활용하는 상태다. 최춘식 국민의힘 의원은 유렵의회가 지난 10월 개최한 코로나 특별위원회에서 화이자 측의 답변을 근거로 “화이자가 백신 출시 전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있는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당시 무효능 백신을 강제 접종시킨 민주당과 문재인 정권이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한창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데, 여당 의원은 전정권을 비판하기 위해 백신의 무효능을 지적한 만큼, 국민 혼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정권 시절 백신 방역 체계를 강조했던 더불어민주당은 새 정권이 들어서자 접종에 소극적으로 돌아서고, 부작용에 대한 ‘국가 책임론’을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은 코로나19 등 감염병 예방 백신 접종 후 부작용 피해가 발생할 경우 진료비·간병비를 제공하고, 예방접종과 인과성 입증 책임을 국가에게 지우는 법안을 지난 22일 발의했다.

앞서 지난해 이용빈 민주당 대변인은 “소화제를 먹어도 부작용으로 사망할 수 있다”며 백신 부작용에 대한 비판을 반박한 바 있다. 정권이 바뀌자 당의 태도가 급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당국과 국가 수뇌부·정치권의 엇박자로 국내 백신 제조사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윤석열, 문재인 정부 모두 백신 주권을 확립한다며 대대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업계는 백신 개발에 성공해도 사업적 불확실성이 높아져 개발 의욕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측은 “향후 또다른 팬데믹에 대한 국내 대응력 미비가 예상된다”며 “연구개발 성공률이 낮고 개발에 성공하더라도 경제성이 낮은 분야, 특히 보건안보와 직결되는 분야는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에 성공한 곳은 SK바이오사이언스 뿐으로, 셀리드, 아이진, 에스티팜, 유바이오로직스, 진원생명과학, 큐라티스 등은 아직 개발 진행 중이다. 기업 한 곳의 성과로 ‘백신 주권을 확립했다'고 말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 및 정치계 인사들의 적극적인 접종 참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