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갈림길에 선 韓‧中관계…소비재 기업도 긴장
상태바
[기획] 갈림길에 선 韓‧中관계…소비재 기업도 긴장
  • 이용 기자
  • 승인 2022.09.12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공산당 서열 3위 리잔수 15일 방한…시진핑 방한 기대감↑
중국 사업 고배 마신 유통업계, 이번엔 여행객 맞이 준비중
중기·제약업계 원부자재 中의존도 높아…국산화 시급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한 올해, 국내 기업의 대중국 사업이 다시 활기를 띌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사진=픽사베이

[매일일보 이용 기자]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양국 정부의 수교 내용에 따라 국내 기업의 대중국 사업이 다시 활기를 띌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서열 3위 리잔수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오는 15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김진표 국회의장의 초청에 따른 것으로, 리 상무위원장과 한중 수교 30주년을 기념하고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방한은 지난 2월 초 박병석 당시 국회의장의 방중(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참석)에 대한 답방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만큼, 2017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국내 배치로 경직된 한중 관계가 회복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

리 위원장이 이번 방한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을 만날 것으로 알려지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한중 정상회담이 성사될 기대도 커졌다.

윤 대통령은 지난 8월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강화해 양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를 달성해나가길 희망한다”며 중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를 밝힌다 있다.

국내 기업 사이에서는 중국 사업이 다시 물꼬를 틀 수도 있다는 기대감이 싹 트고 있다.

가장 기대감이 큰 분야는 유통업계다. 유통업계는 중국과의 국제 관계 악화로 이미 대부분의 사업을 철수한 상황이다.

롯데는 이미 롯데그룹 식품 계열사 롯데제과와 칠성을 중국에서 완전 철수했고, 중국 내 26개의 점포를 냈던 이마트도 2017년 모든 점포를 철수했다.

사드 배치로 촉발된 중국 내 반한 정서로, 중국이 자국 내 한국 유통 기업에게 특히 엄격한 규제 장벽을 적용하고, 중국 소비자 또한 한국 기업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다만 14억 인구를 가진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을 포기하기 어려운 만큼, 업계는 여전히 중국 관련 사업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이번 한중 수교 결과에 따라 차세대 사업 발굴도 고려할 방침이다.

유통업계는 과거의 실패를 토대로, 이번엔 중국으로의 진출이 아닌 국내에 유입되는 중국 큰손을 맞이할 준비에 힘쓸 예정이다. 특히 면세시장과 화장품업계에서는 중국 봉쇄조치가 풀리고 구매력이 강한 중국 여행객이 한국에 방문하는 기회가 늘어나길 기원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중국과의 수교 결과와 관계없이 높은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원료의약품, 소부장 국산화에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해외수출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민 생명과 직결된 의약품 득성상, 중국이 원료의약품을 무기화 하면 국내 보건의료 체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건강기능식품과 뷰티 관련 의약품 대부분이 중국 수출을 의식해 생산되고 있는 만큼, 최근 코로나19로 시작된 중국의 의약품 궐기에 밀려 국산 제품이 갈 곳을 잃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중소기업계 또한 원자재 수입 및 판매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중국 사업은 중기의 생산·매출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기술유출 우려도 큰 업계의 ‘양날의 칼’로 평가된다.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된 상황임에도 올해 상반기 대중 수출액 비중은 전체 수출액의 18.9%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000만 달러 이상 수입품 중 특정 국가에 수입액 75% 이상을 의존하는 품목이 636개에 달한다. 그중 중국이 351개(55.2%)로 가장 많다.

업계 내에서는 이전부터 소부장 국산화와 내수 시장 강화가 시급하다는 자성론이 나왔지만, 자본 규모가 부족한 중기 입장에선 사실상 중국과의 관계 개선이 기업 부담을 낮출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인 셈이다.

다만 중국으로부터 기술 유출 문제도 커지는 만큼, 업계에서는 한중 관계가 원만하게 될 경우 기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