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의료 공백 줄이려면 정부 주도 의료기기 국산화 노력 필수
상태바
[기자수첩] 의료 공백 줄이려면 정부 주도 의료기기 국산화 노력 필수
  • 이용 기자
  • 승인 2022.08.17 13: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이용 기자] 중국, 일본 관련 국제 이슈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수출입 제한으로 최근 산업계에서 국산화 바람이 불고 있다.

하지만 신토불이(身土不二)가 아직도 요원한 분야가 있다면, 바로 의료기기다.

17일 의료계 따르면 미국 메드트로닉의 이식형 심장충격기와 애보트의 이식형 심장박동기 'ASSURITY' 등은 품질관리 문제가 지적돼 자발적 리콜에 들어가 일선 현장에 비상이 걸렸다.

이식형 심장충격기는 삽입된 전극을 통해 전기 충격을 심장에 보내 심방이나 심실의 세동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하는 기구다. 심장박동기는 심장 리듬의 문제를 감지하여 심장이 규칙적이고 제시간에 박동할 수 있도록 전기자극을 보내는 장치다.

메드트로닉의 이식형 심장충격기는 세계 각국에서 최근 소프트웨어 이상이 발견돼 리콜에 나선 상태다. 현재 특정 상황에서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애보트메디칼코리아의 이식형 심장박동기는 제품 공정 과정에서 나타난 결함으로 기기 오작동 발생 가능성이 발견돼 회수 조치를 시행한다. 국내는 현재 557개 제품이 수입됐으며 전량 회수될 방침이다.

두 제품 모두 심장에 밀접한 만큼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며, 작은 오류에도 심각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특정 심장 질환을 앓는 환자들에게는 없어선 안 될 핵심 의료기기지만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의료기기분야 국내 내수 자급률은 약 40% 수준이며, 치료재료 품목 중 이식형 인공심장 박동기는 전부 해외 제품이다.

이번 리콜 사건과 같이, 갑자기 사용을 못 하게 될 경우, 대체품을 찾기 어려워 의료 공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산화가 시급한 분야지만 정작 국내 기업들은 개발에 성공해도 상업성을 보장할 수 없어 선뜻 개발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다.

의료인은 대개 전공의 시절부터 익숙한 브랜드 제품으로 학습하고, 활용하므로 후발주자가 끼어들 여지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S대학 의대 교수는 “의료기기 브랜드는 시장 선점이 최우선이다. 혹시 모를 환자의 위험을 대비해서 이미 효과가 검증된 익숙한 제품을 사용하기 마련이다. 기존에 활용된 제품이 있는 경우, 이미 임상을 거친 새 제품이 나오더라도 선택받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현재 정부는 국내 의료기기 개발사에게 규제 혁신과 상용화 지원 등 파격적인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다만 의료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짚어내지 못 해 특히 고도 기술이 요구되는 의료기기의 국산화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의료계와 업계 모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주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의료계는 적어도 국립대학병원이라도 전공의 때부터 국산 의료기기를 접할 수 있도록 제품을 의무 구매하고, 의대 시절부터 관련 교육을 다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각 병원들을 대상으로 국산화 의료기기를 구매할 경우 세제 혜택을 주거나, 의료기기 교육 확대, 국가 주도 의학 학회 개최 등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