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기술 패권국의 길, 인재 양성이 급선무
상태바
[창간특집] 기술 패권국의 길, 인재 양성이 급선무
  • 조민교 기자
  • 승인 2022.06.26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또 다시 전환기...첨단기술 인재 양성 총력전
20일 관악구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학생들이 반도체 제작과정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일 관악구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학생들이 반도체 제작과정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조민교 기자] 지난 7일 “교육부는 과학기술 인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때만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규정한 윤석열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은 인재 양성이 기술 패권국에 이르기 위한 핵심수단이자 급선무임을 단적으로 알려준다.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인재를 키워내는 건 생사가 걸린 문제”라는 이야기를 여러 번 했다고 한다.

기술 패권국을 지향하는 새 정부에서는 교육개혁 자체가 첨단기술 인력 양성에 맞춰져 있다. 정부는 교육개혁에 있어 반도체 등 첨단 분야 인력 양성을 저해하는 규제개선에 우선 착수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특히 교육부는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해 수도권 대학 정원을 늘리는 등 파격적인 방안을 관계부처와 준비 중이라고 전해진다.

이와 관련,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000여명 수준으로, 향후 10년간 누적 부족 인력이 3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은 대선 당시 ‘반도체 기술인력 10만 명 양성’을 공약한 바 있다.

인력 양성은 단지 양적인 측면에서 관련 업계의 만성적인 인력난을 해소하면 된다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 출신의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20일 국회 특강에서 “반도체 분야 인력 숫자의 증가도 중요하지만 탁월한 인재 양성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탁월한 인재 양성을 통해서만 지식 기반 신기술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고, 대기업이 원하는 초격차를 완성하는 동시에 벤처기업 창업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위한 미래 인재 100만 명 양성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비전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나온 110대 국정과제에도 포함됐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을 대폭 강화해 오는 2027년까지 디지털 인재 100만 명을 양성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산업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인 디지털 전환에서 걸림돌이 되고 있는 인재 부족 문제를 일거에 해소하겠다는 구상으로, 역시 기술 패권국 실현에 있어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은 과거 산업화 전환기에도 인재 양성을 통해 산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내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토대를 닦을 수 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