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사, 대법원 판결에 따른 입법과제 수행해야”
상태바
“존엄사, 대법원 판결에 따른 입법과제 수행해야”
  • 서태석 기자
  • 승인 2009.08.13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존엄사 입법화의 쟁점과 과제” 발간

[매일일보=서태석 기자] 지난 5월 21일 ‘무의미한 연명치료 장치의 제거 등 청구소송’에서의 대법원 판결에 따라 국회는 그 판결의 취지에 맞도록 기준 마련 등 필요한 입법과제의 수행을 위해 치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13일 발간한 '존엄사 입법화의 쟁점과 과제'라는 보고서에서 존엄사라는 개념은 논자의 입장에 따라 유사 개념인 ‘치료중단’, ‘의사조력자살’ 등과 혼재되어 사용되고, 종래의 개념인 안락사의 일반적 분류유형과도 정확하게 합치하지 아니하여 유형화 및 입법적 대책 마련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어 존엄사 개념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존엄사의 인정을 위한 법절차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대법원이 인정한 “말기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하고,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최고의 존엄성 보장을 위하여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범위로 논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의 이 보고서는 기존의 안락사의 유형에서 존엄사의 개념에 대한 유형분류 및 안락사 찬·반론에 대한 법적 쟁점을 분석함과 동시에, 미국, 네덜란드 등 주요국에서의 존엄사 관련 입법례와 정책적 대응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존엄사 관련 입법방향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현행 형법에 따르면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사람을 자연적 사기(死期)에 앞서 사망에 이르게 한 자는 촉탁·승낙살인죄로 처벌받게 되지만, 형법학계에서는 안락사라는 개념을 통하여 일정한 요건 하의 치료중단행위는 위법성이 조각되는 행위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보고서는 형법학계에서 주장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안락사는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별반 활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존엄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존엄사의 입법화와 관련하여 다음의 입법방향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회복불능상태의 환자’ 또는 ‘말기상태의 환자’의 판정은 그 근거가 될 수 있는 의학적 판단의 기준을 명확한 절차와 함께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치료중단의 허용여부를 둘러싼 논의도 중요하지만, 허용한다면 어떠한 기준과 요건 및 절차하에 치료중단을 인정할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심의기구의 설치 및 그 기구의 책무 등을 명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의식불능의 환자의 의사를 대행하기 위한 대리인의 동의권에 대한 법적 근거의 마련이 필요하고, 말기환자가 아니더라도 의식불능이 될 경우를 대비하여 의사표시의 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존엄사 허용 이전에 치료중단의 관행을 제도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치료목적보다도 ‘삶을 마감하는 과정’을 도와주는 호스피스에 대한 제도화 및 활성화 방안도 존엄사 입법과 더불어 검토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