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조 가계빚 금리상승에 부실화 우려
상태바
1700조 가계빚 금리상승에 부실화 우려
  • 김정우 기자
  • 승인 2021.04.12 1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GDP 대비 가계부채 98.6%… 단기 비중 높아 ‘위험’

[매일일보 김정우 기자] 국내 가계부채 규모가 1700조원을 넘어서며 급증한 가운데 금리 상승에 따른 부실화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약 1726조1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25조8000억원(7.9%)가량 늘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저금리 기조 속 주택 매입 자금 수요가 꾸준히 늘고 빚을 내 주식투자에 나서는 사례가 늘면서 국내 가계대출 총액이 급증했다. 

특히 조세재정연구원 발표 자료에 따르면 보면 지난해 2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98.6%에 달한다. 이는 전 세계 평균인 63.7%, 선진국 평균 75.3% 대비 높은 수준이다.

조세연은 “부채규모가 크게 늘어난 현 시점에서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되는 경우 부채 부담에 따른 이자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등 경제 전체에 충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부채의 질을 보면 유동성 위험에 취약한 단기(1년) 부채 비중이 22.8%를 차지해 프랑스(2.3%), 독일(3.2%), 스페인(4.5%), 이탈리아(6.5%), 영국(11.9%) 등 유럽 주요국에 비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단기 비중이 높은 주요국은 미국(31.6%)이 유일하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47.2%(2019년 기준)로 프랑스(30.0%), 영국(28.7%), 독일(28.3%), 미국(17.3%)보다 높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높을수록 부채를 못 갚을 위험성도 커진다고 볼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빠르게 늘었지만 그 비중은 GDP 대비 43.9%(2019년)로 미국(49.5%), 프랑스(45.4%), 스페인(41.6%) 등에 비해 크게 높지 않았다. 다만 국내 전세금 제도 특성을 감안하면 GDP 대비 비중이 61.2%로 높아진다.

오히려 조세연은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기타대출(신용대출 포함) 규모가 주요국 대비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기타대출 증가세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환경 악화에 따른 대출, 생활자금 마련을 위한 대출, 주식 투자 등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