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 코리아] 韓경제, 건설업이 이끌고 금융이 뒷받침 한다
상태바
[플러스 코리아] 韓경제, 건설업이 이끌고 금융이 뒷받침 한다
  • 이광표 기자, 최은서 기자
  • 승인 2021.01.04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 일자리 창출·경제 회복 이끌 주요 산업으로 주목
금융, 사회적 금융 역할 강화…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문재인 대통령이  ‘2021년 경제정책방향 보고’ 확대 국민경제자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021년 경제정책방향 보고’ 확대 국민경제자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광표 기자, 최은서 기자] 정부가 ‘코로나19의 극복 이후 빠른 경제회복’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제시한 가운데 사상 최대치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편성됐다. 이에 일자리 창출과 경제 회복을 이끌어갈 주요 산업으로 건설업이 주목받고 있다. 또 금융권도 지난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 총대를 멘데 이어 올해 ‘사회적 금융’의 역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4일 국회 등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위축된 경기 회복을 위해 올해 SOC 예산이 국회에서 추가로 증액되며 사상 최대인 26조5000억원으로 배정됐다. 전년 대비 14.2% 증가한 규모다. 특히 정부는 경기 파급 효과가 큰 일자리 및 SOC 사업을 중심으로 조기집행에 나서기로 했다.

또 정부는 ‘2021년 경제정책방향’에서 공공기관과 민간투자사업, 기업 투자 지원 등 총 110조원에 달하는 투자 프로젝트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공공기관 투자액은 65조원 규모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공공주택과 철도, 고속도로, 항만 등 SOC 기반 확충, 발전소 건설 및 시설보강, 한국판 뉴딜 투자 등을 중심으로 자금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민자사업 투자는 총 17조3000억원 규모로 추진한다. 먼저 포괄주의 등을 적극 활용해 13조8000억원 규모의 신규 민자사업을 발굴한다. 18조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도 신규 발굴한다. 한국판 뉴딜과 연계한 기업투자 지원에도 정부가 나선다. 경기부양과 일자리 창출에 즉각적 효과를 줄 SOC 카드를 꺼내든 셈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SOC 투자 1조원이 증가하면 실질 GDP(국민총생산) 성장률은 0.076%포인트, 취업자 수는 1만3900명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타 부문 효과와 비교할 때 가장 높은 수치다.

박철한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SOC 및 건설 관련 예산은 코로나 사태로 둔화된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재원”이라며 “내년 상반기에 예산을 최대한 앞당겨 집행해 SOC의 경기 부양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 금융 활성화에 나선 금융권은 중점 사업전략에 ‘친환경·사회적 책임 경영·윤리경영’을 담은 ‘ESG 경영’을 전면에 내세웠다. KB금융그룹은 중장기 로드맵인 ‘KB 그린웨이 2030’을 바탕으로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약 20조원 규모의 ‘ESG 상품·투자·대출’을 50조원까지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신한금융그룹은 ESG 경영체계를 고도화하고 희망사회 프로젝트와 혁신성장 프로젝트를 양대 축으로 CSV(공유가치 창출)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2018년 지주와 은행 본점에 도입한 환경경영시스템을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감축계획을 이행하고 있다.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그룹 경영계획과 중장기 전략에 ESG 경영을 핵심 전략으로 반영하고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탈석탄 금융’을 추진한다.

금융권은 올해에도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을 지속할 방침이다. 지난해 금융권에서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소상공인 등을 위해 집행한 금융지원 규모는 총 235만9000건, 250조9000억원이었다.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낮은 금리로 유동자금을 빌려주는 은행권의 긴급대출 프로그램도 추가 지원 역할을 톡톡히 했다. 향후 2차 대출규모는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의 1차 대출한도가 거의 소진되면서 2차 대출로 수요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3차 유행이 번지면서 코로나 장기화에 따라 긴급 운영자금에 대한 소상공인들의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은행권 1차 대출이 대부분 소진됐고 정부가 신용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2차 대출규모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