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비대면 시대…날개 단 K콘텐츠, 외산 플랫폼에 의존
상태바
[기자수첩] 비대면 시대…날개 단 K콘텐츠, 외산 플랫폼에 의존
  • 정두용 기자
  • 승인 2020.12.20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두용 산업부 기자
정두용 산업부 기자

[매일일보 정두용 기자] 국내 콘텐츠가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이를 담는 플랫폼은 분쟁과 규제에 시달리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치이는 웨이브·왓챠·티빙이 K콘텐츠 해외 유통에 나선다는 것은 이미 ‘실현 불가능’한 꿈이 됐다. 맛 좋은 음료를 만들었지만 병은 수입산을 써야 되는 상황인 셈이다.

세계 미디어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 중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기회를 잡은 몇 안 되는 분야다. 이미 경쟁력이 입증된 K콘텐츠의 인지도 역시 높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콘텐츠 수출액은 이미 2018년 10조원을 돌파했다. 방송·만화·게임 분야 골고루 성장해 2017년 대비 9.1% 늘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올해 콘텐츠 수출액이 최대 110억9000만달러(약 12조1935억원)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19년 103억9000만달러(약 11조4238억원) 대비 약 6% 성장한 수치다.

OTT는 이 같은 콘텐츠를 담는 그릇이다. 현재 미디어 시장 구조에서 가장 접근성이 좋은 플랫폼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국내 OTT 분위기는 K콘텐츠 시장과 사뭇 다르다. 영상 콘텐츠 수출 사례는 종종 볼 수 있지만 OTT 해외 진출 소식은 찾기 힘들다.

부진의 원인은 늦은 진출에 있다. 넷플릭스가 국내에 들어온 시점은 2016년이지만, 국내 OTT 기업의 본격적 출범은 이제 1주년을 맞았다. 넷플릭스가 지난 10월 한 달간 국내에서만 514억원의 매출을 올린 배경엔 시장 선점 효과도 분명히 작용할 터다.

그렇다고 손 놓고만 있을 순 없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플랫폼의 영향력은 지대하기 때문이다. 이를 외산 기업에 내줬을 때 피해가 상당하다. ‘구글플레이’로 국내 앱 마켓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구글 ‘갑질’만 보더라도 그렇다. 앱 내 결제 시스템 사용 의무화를 게임 외 분야에도 적용해 30% 수수료를 부과하겠다는 정책을 내놨을 때 마땅한 규제 방안이 없어 업계에 비상이 걸린 바 있다.

국내 OTT업계의 상황도 이처럼 흘러갈 수 있다. 실제로 넷플릭스는 국내 인터넷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망 사용료’ 납부를 거부하고 있다. 월 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면서도 국내 직원은 70명 남짓이라 일자리 창출 효과도 적다. 매출·영업이익을 공시하지 않고 외부감사도 받지 않는다. 조세회피 의혹도 받고 있다. 외산 기업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이 받는 규제에서 자유롭다는 지적이다.

소비자로선 더 재미있는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국내 OTT 기업은 외산 기업과 본격적으로 경쟁할 체급을 만들기도 전에 발목을 잡혔다. 문체부가 OTT 음악사용료를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제시한 2.5% 요율에 근접한 1.9995%로 확정한 점이 대표적이다. 1.5%로 시작해 2026년까지 차츰 올릴 계획이지만 OTT업계가 주장한 기존 방송물재전송서비스 규정의 0.625%와는 큰 차이가 있다. 국내 OTT기업들이 외산 기업처럼 일단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뒤 요율 인상을 추진해도 늦지는 않았으리란 아쉬움이 남는다.

담당업무 : 정보통신기술(ICT) 전반을 취재합니다. 이동통신·반도체·디스플레이·콘텐츠 소식을 알기 쉽게 쓰겠습니다.
좌우명 : 당신을 듣다, 진실을 말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