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신승엽 기자] 한국음식물감량기협회는 25일 한국형 그린뉴딜 완성을 위한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설치 확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음식물감량기협회 관계자는 “지난 2013년 해양투기 금지 이후 RFID종량기가 보급돼 현재 공동주택(아파트) 약 5만개 동에 10만여개가 설치됐다”며 “RFID종량기를 통해 국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약 3740톤/일(연간 약 137만톤)이 수거되고 있지만 이중 감량기는 1%정도 밖에 설치되지 않아 수거된 음식쓰레기는 중간처리장으로 운송되고 재활용조차 되지 않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999년부터 법적의무로 음식물쓰레기의 분리 배출·수거 및 처리를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 재활용기술은 세계 최고로 평가받는다. 감량기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은 국내 및 해외에서 이미 15년 이상 널리 활용되고 있는 검증된 기술이다. 현재 국내에서도 이마트 등 의무감량 사업장은 물론 전국의 식당 2000여개소를 비롯해 약 3만6000가구, 약 10만명이 5년 이상 사용하고 있다.
감량기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처리 효과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절감 △이산화탄소(CO2) 발생량 감소 △주민 편익 개선 △신규 일자리 및 시장 창출 △자원 재활용 등이 꼽힌다.
이현주 음식물감량기협회장은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설치는 그린뉴딜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에도 부합하는 사업인 만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한 육성이 필요하다”며 “폐기물관리법과 자원순환촉진법 개정을 통해 음식쓰레기의 처리를 발생장소에서 처리토록 하고, 각 지자체에서 발생지 처리원칙을 조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수행기일, 수행실적 보고 등 부가적인 관리와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회장은 “감량기 설치 관련 비용은 구매가 아닌 렌털 방식 활용 시 월 20~25만원(10년 기준) 수준으로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한 만큼 설치비용에 대한 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건조감량기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은 많은 장점과 검증된 국내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내기술을 인정하지 않는 당국의 불합리한 기술평가와 저가의 불법기계 만연으로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건조감량기 설치 관련 올바른 규정을 마련하여 수집운반과 재처리로 인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재활용을 활성화시켜 추가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