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공포의 시대에 사는 우리의 모습 '공포영화, 한국 사회의 거울'
상태바
[신간] 공포의 시대에 사는 우리의 모습 '공포영화, 한국 사회의 거울'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0.11.20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치지직거리는 흑백 텔레비전 모니터가 클로즈업된다. 그리고 줌 아웃되면서 모니터 속에서 긴 머리를 한 여자가 엉금엉금 기어 나온다. 생각만 해도 소름끼치는 장면이 아닐 수 없다. 일본 공포영화 <링>의 유명한 장면이다.

​한때는 여름이면 어김없이 극장가에 걸리던 공포영화지만, 이제는 철을 가리지 않는다. 공포에 대한 정의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심화되고 사회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이전에는 몰랐던 종류의 공포가 자꾸 생겨나고 있다.

과거에는 귀신이나 악령이 공포의 대상이었다면, 요즘 공포의 대상은 사랑하는 이의 배신이 되기도 하고, 네트워크망의 익명성일 수도 있고, 계층의 대립 혹은 재난, 부에 대한 욕망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이렇게 다양해진 공포를 주제로 한 우리 영화를 대상으로 그 속에서 우리 사회가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분석한다. <변신>, <곤지암>, <기생충>, <타워>, <목격자>, <곡성>, <도어락>, <고 死: 피의 중간고사>, <감기>, <알포인트> 등 영화팬이 아니어도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화제작을 포함, 27편의 영화를 10개의 주제로 나누어 어떤 공포가 우리사회를 지배하는지 분석했다.

독립영화 감독이기도 한 저자의 말대로 “공포영화는 그 사회의 반영”이어서 영화를 통해 공포의 시대에 사는 우리의 ‘찐’ 모습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시대의 공포를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 작은 힌트를 얻을 수도 있겠다.

​저자 오세섭은 독립영화 감독이자 영화 연구자이고 교육자다. 어릴 때부터 공포영화를 탐닉해 왔으며, 이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공포영화의 이해”라는 강의를 진행해 왔다. 최근에는 새로운 개념의 좀비가 등장하는 장편 독립영화 <좀비는 좀비끼리 우리는 우리끼리>(2020)를 연출하기도 했다. 

홍익대학교에서 교육학,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연출을 공부했다.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영상 시나리오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중앙대학교에서 “영상미디어를 통한 청소년의 자기표현”(2016)으로 영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