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코로나 쇼크 이후 세계의 변화'
상태바
[신간] '코로나 쇼크 이후 세계의 변화'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0.10.15 0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2020년이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는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전 세계에 번져나갔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 선언을 하기에 이르렀고  세계 여러나라는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외국인의 입국을 제한하거나 공장 가동을 중단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국제적인 인적 교류와 서플라이 체인이 끊어지면서 세계의 정치·경제는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게다가 아직까지 백신 개발 소식은 감감무소식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등장과 전 지구적인 확산은 VUCA(Volatility 변덕, Uncertainty 불확실성, Complexity 복잡함, Ambiguity 애매함) 시대의 도래를 상징하는 사건이다.

그러나 세계의 정치·경제를 움직이는 것은 결국 인간이다. 저자는 물리학자의 관점으로 현시점 세계 경제의 트렌드에 대해 분석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의 변화 속도는 더욱더 빨라졌다. 1년 전만 해도 상식적이었으나 올해는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 일이 모든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성공 경험이 그대로 통용될 것이라는 기대는 접어두는 것이 좋다.  경영자나 비즈니스맨은 항상 사방팔방으로 안테나를 세워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정보를 토대로 최선의 전략을 세워야 한다.

 각종 통계 수치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세계 경제는 둔화되고 있는 추세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정치 리스크이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이 크다. 20년 전의 중국이었다면 미국과 패권 다툼을 벌일 생각은 꿈도 꿀 수 없었겠지만, 급격히 존재감을 높인 오늘날의 중국은 이제 미국과의 패권 다툼에 나서고 있다.

각국의 분열 또한 염려되는 요인이다. 자국 우선주의와 포퓰리즘이  세계를 좀먹고 있다. 이런 와중에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다시금 국민국가들을 분열의 시대로 몰아가고 있다.

이러한 분열의 또 다른 계기는 바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장이다. 그는 미국의 삼권분립이나 민주주의를 훼손시켰을 뿐만 아니라, 국제 공조나 세계 질서의 토대를 파괴해 버렸다. 아마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가 끝난 후에야 그 후유증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한편 EU 역시 프랑스의 데스탱 대통령, 미테랑 전 대통령, 독일의 슈미트 전 총리, 콜 총리와 같은 전 유럽을 아우르는 지도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회원국들 사이의 분열과 반목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은 티베트와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인권 탄압 행위를 하고 있다는 이유로 국제사회로부터 비난받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내정 간섭이라며 강변하지만, 인권이나 환경 같은 인류 공동의 문제는 필연적으로 국제적인 과제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일본은 국제사회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기는커녕 완전히 그 기세를 잃어가고 있다. GDP는 중국에 추월당한 지 오래고, 기업 시가총액 랭킹 또한 42위의 도요타가 가장 높은 순위로 자리해 있을 뿐이다. 이대로라면 과거의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이 그랬듯 일본 역시 조용히 쇠퇴해 갈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 각국이 안고 있는 문제점, 세계의 구조적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지금은 어떤 분야의 비즈니스를 하더라도 국제적인 이슈의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세계 각국의 동향을 파악한 후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는 이에 대한 비책으로 퀄리티 국가를 지향하면서 세계 각국이 분열을 멈추고 연대와 협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매킨지 컨설팅의 전설적인 경영 컨설턴트로서 예리한 분석으로 명성을 날리며,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피터 드러커, 톰 피터스 등과 함께 세계를 이끄는 사상적 리더로 선정된 <코로나 쇼크 이후 세계의 변화>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세계 경제의 구조와 흐름의 진정한 모습을 알게 되길 바란다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은 특집으로 ‘한국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자세한 대책이 수록되어 있어 의미를 더하고 있다. 집필자는 한국생산성본부 노규성 회장으로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 모순점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의 우리 사회의 키워드는 무엇인가? 저자는 특히 스마트한 정부, 일하는 국회, 기업의 경쟁력 제고, 노동 운동의 전환, 성숙한 시민의식,디지털 대전환, 미래 교육 에듀테크, 새로운 글로벌 연대 등을 강조하고 있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