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출연 강요받는 금융권 볼멘소리
상태바
기금출연 강요받는 금융권 볼멘소리
  • 황인욱 기자
  • 승인 2020.09.17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판 뉴딜금융 구상안만 170조원 규모
6개월 뒤 금융사 상황 악화될 가능성 커

[매일일보 황인욱 기자] 금융권이 정부가 추진 중인 뉴딜펀드 추가 조성 마련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 금융지원의 만기가 연장되면서 압박은 더 가중될 걸로 보인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차 한국판뉴딜전략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해서는 금융의 적극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금융권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날 발표된 한국판 뉴딜금융 구상안에는 170조원 규모에 달하는 투자 방안이 담겼다. 국내 주요 금융지주들은 정부의 뉴딜정책에 맞춰 수십조원에 달하는 지원 계획을 쏟아내고 있는데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해진거다. 

신한금융은 ‘신한 네오(N.E.O.)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직·간접 투자와 대출 등의 방식으로 28조5000억원을 지원한다. 하나·우리금융은 각각 ‘한국판 뉴딜 금융 프로젝트’와 ‘뉴딜 금융지원 위원회’를 신설해 10조원씩 지원하고, KB금융은 ‘KB뉴딜‧혁신금융협의회’를 통해 9조원, 농협금융은 ‘녹색금융사업단’을 통해 8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총 65조5000억원에 달하는 투자 규모다.

그러나 이에 그치지 않을 거란 게 금융권의 걱정거리다. 일각에선 이번 논의를 기점으로 관련 사업의 방향이 구체화할 경우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판 뉴딜정책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진행하는 사업인 만큼 금융회사들에게 신성장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도 “정부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금융권에 과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어 갈수록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실제 금융권은 뉴딜정책으로 비이자이익 영역을 확대하고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비할 수 있다는 점을 공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부담을 느끼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관련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유예 등 금융지원 시한이 연장되면서 금융권의 어깨가 갈수록 무거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14일 기준 전체 금융권에서 이뤄진 대출 만기연장은 약 75조8000억원(약 24만6000건), 이자상환 유예는 1075억원(9382건)에 달한다.

한 시중은행 CFO(최고재무책임자)는 “대출 만기 연장은 해줄 수 있다고 해도 이자 납부를 유예하는 것에 대해선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 많았다”며 “이자도 내지 못할 정도면 6개월 뒤 금융사나 채무자 서로 상황만 악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담당업무 : 금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