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인터뷰] 송효찬 허니비즈 COO “정부와 공정배달앱 시장 구축한다”
상태바
[MI-인터뷰] 송효찬 허니비즈 COO “정부와 공정배달앱 시장 구축한다”
  • 신승엽 기자
  • 승인 2020.08.26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수료 2% 일괄 적용, 소상공인과 상생구도 형성
지자체 배달앱 사업 참여, 비상식적인 수수료 개선
중기부‧소진공 O2O 사업 동참해 비대면 전환 지원
송효찬 허니비즈 COO. 사진=허니비즈 제공
송효찬 허니비즈 COO. 사진=허니비즈 제공

[매일일보 신승엽 기자] “많은상인회, 번영회가 보이콧을 선언하고 띵동에 줄지어 입점하고 있다. 하루하루가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전국으로 확대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싸움이 아니라 바꿔야 하는 시대의 필연적 요구다.”

배달앱 띵동을 운영하는 송효찬 허니비즈 최고운영책임자(COO)의 국내 배달앱 생태계를 향한 지적이다. 띵동은 지난 2012년부터 9년 동안 생활편의, 컨시어지 서비스와 맛집배달, 배달이 안되는 맛집까지 배달해주는 라이프 서비스 플랫폼이다. 올해 초 배달앱 2.0을 선언하며 배달 중개 시장의 새로운 방향성인 ‘상생 공정배달앱’을 제시하며 전국 서비스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상생을 지향하는 만큼 소상공인들과 지속적으로 마찰이 발생한 배달앱 생태계의 문제점도 설명했다. 송 COO는 “코로나19 사태로 10명 중 9명의 소상공인은 직원 급여도 줄여보고 근무시간도 단축했으나 결국 직원들을 해고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이어진다고 하니 지금의 배달앱 시장의 문제는 소상공인만의 문제가 아닌 심각한 사회적 이슈”라며 “2만원짜리 치킨 한 마리 팔 때마다 순수익(2000원)보다 높은 3000~4000원의 배달앱 광고비, 수수료를 내고 있으니 심각한 악순환 구조가 아닐 수 없다”고 강조했다. 

업계 선두주자인 배달의민족의 시스템도 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송 COO는 “플랫폼의 역할은 소상공인이 제공하는 원천정보를 소비자에게 이어주는 역할이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얻게 되는 노하우와 성과, 그리고 데이터는 다시 소상공인과 소비자에게 돌려줘야 한다”며 “이것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이고, 현재까지의 악순환 구조를 하루빨리 선순환 구조로 바꿔야 한다”고 설명했다. 

송 COO는 “대한민국 플랫폼들은 광고비, 수수료가 비싸더라도 매출을 올려주고 홍보를 해줬으니 그걸로 된 것 아니냐는 논리를 펼친다”며 “플랫폼이 수억, 수조의 가치로 성장되는 동안 문을 닫는 소상공인 업체 수는 셀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의 배달 중개 플랫폼은 소상공인과 소비자, 그리고 플랫폼과 정부, 지자체가 모두 함께 상생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지속 가능한 유일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띵동은 상생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입점비와 광고비를 받지 않는다. 수수료는 2% 수준에 불과하다. 송 COO는 “전국 지자체들은 상생 공정배달앱이 자생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가를 궁금해한다”며 “매일 쏟아지는 수백, 수천 건의 이슈를 받아낼 수 있는 조직과 노하우가 구축돼야 할 뿐 아니라 그러한 이슈들이 잘 반영된 시스템이 있어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컨디션이 요구된다”고 언급했다. 

송 COO는 “띵동은 최근 3~4년 사이, 오랜 시간 동안 많은 비용과 시간, 인적자원을 투입해 완벽에 가까운 플랫폼과 조직구조를 갖췄다”며 “광고비, 입점비 없이 소상공인의 희망 배달앱 수수료 5% 구간보다 더 낮은 2% 수수료를 선언한 것은 이러한 준비를 바탕으로 치열한 계산과 고민 끝에 얻은 자신감”이라고 밝혔다. 

띵동의 이러한 노력은 정부와 지자체의 호응을 이끌었다. 서울시 제로배달유니온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O2O 지원사업이 대표적인 사례다. 제로배달유니온은 소상공인에게는 입점비, 광고비 없이 2% 의 수수료만 적용하는 상생프로젝트다. 소진공 O2O 지원사업은 비대면으로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맞춰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판로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공배달앱의 한계성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송 COO는 “공룡 플랫폼을 잡자고 또 다른 대기업 플랫폼을 대안으로 세우거나 지자체 예산 즉, 국민의 세금으로 지자체 주도형 공공앱을 만드는 방식의 근시안적 대안과 대책은 대한민국 소상공인과 국민 모두를 멍들게 한다”며 “지자체가 천문학적으로 필요한 예산을 전액 세금으로 시민 모두가 사용하지도 않는 배달앱 하나에 쏟아 붓는다는 것은 말이 안되고 그래서도 안된다는 것이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 공공앱 715개 중 절반 수준만 겨우 유지판정을 받았고, 폐기 중 다수는 아예 성과측정이 불가한 수준이라고 평가받는다. 오히려 기존 사업자 가운데 합리적인 운영방식을 갖춘 이들과 손을 잡는 체제가 만들어지는 추세다. 

송 COO는 “앱을 만드는 것까지는 사실 큰 비용이 들지 않는데도 엄청난 지자체 예산을 원하거나 앱을 만든 이후 실제 운영에 대한 내용이 부재한 사업계획, 갖춰지지 않은 조직구성, 비현실적 컨디션 등의 이유로 지자체가 자격 미달을 통보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라며 “성공율이 절반 이하로 예상되는 사업에 모든 예산이 들어가 당장 하루하루가 고통스러운 소상공인의 현실적 지원은 없다. 한 번 해보고 안되면 말지 하는 식의 접근은 절대 지양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송 COO는 “띵동 덕분에 ‘먹고 살만 하다, 살기 좋아졌다’는 소상공인이 많아질 것이고, 이로 인해 음식의 맛과 서비스 질의 향상을 불러올 것”이라며 “선순환 구조 중개하는 플랫폼으로서 일상재로 쓰여질 띵동을 꿈꾼다. 띵동은 소상공인‧소비자‧지자체와 함께 가짜 후기, 리뷰가 판을 치는 비싼 광고가 아닌 사람과 사람, 사람과 제품이 정직하게 이어지는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담당업무 : 생활가전, 건자재, 폐기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좌우명 : 합리적인 사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