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반년] 철저한 진단검사 영향… 한국인 항체 없어
상태바
[코로나19 반년] 철저한 진단검사 영향… 한국인 항체 없어
  • 한종훈 기자
  • 승인 2020.07.16 12: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체 형성률 0.03%… 집단면역 불가 ‘방역 준수’ 더 필요
광주 북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의 대기 줄 이어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광주 북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의 대기 줄 이어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매일일보 한종훈 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항체 형성률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철저한 진단검사를 토대로 감염자를 거의 찾아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일반 국민 3055명을 대상으로 항체검사를 한 결과 단 1명만 항체가 형성됐다. 항체 형성률은 0.03%다. 이는 해외국가들과 비교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다.

주요 해외국가들의 항체 형성률을 보면 집단면역을 실험한 스웨덴이 높게 나타났다. 스웨덴은 110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5월 31일 기준)에서 스톡홀롬은 7.3%, 그 밖의 지역은 3∼4% 수준을 보였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지역 333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4월 30일 기준)에서 1.5%, 뉴욕주 300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5월 7일 기준)에서는 13.9%(뉴욕시티 21.2%)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의 항체 형성률를 놓고 봤을 때 지역사회에 숨어있는 확진자를 찾아내는 정부의 방역 대책이 현재까지는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이는 국민 대부분이 항체가 없어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구 60% 이상이 항체를 보유해야 가능한 집단면역은 불가능한 셈이다. 유행속도를 늦추며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기까지 버텨야 하는 상황이다. 방역당국과 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유행을 억제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생활방역 준수라고 강조한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최대 6배 높은 것으로 알려진 GH 유형이어서 2차 대유행이 올 경우 1차 때보다 피해 규모가 커질 위험도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지금 우리가 가진 유일한 무기가 사회적 거리두기”라며 “코로나19는 계속 유행할 텐데 지금 거리 두기를 강화해 감염 규모를 확 낮춰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가을·겨울철에 코로나19와 증상이 구분되지 않는 독감이 유행할 수 있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방역당국도 독감 유행에 대비해 예방접종 연령 확대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보다 효과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사람들과 대면해 일하는 보육교사, 요양보호사 등의 직업군이나, 걸렸을 때 폐렴으로 갈 가능성이 높은 만성질환자 등을 중심으로 무료접종을 확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면서 “가을이 오기 전 독감 유행에 대한 대비책을 제대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