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수출규제 1년… ‘소부장’ 위기 극복했으나 한일협력 필수”
상태바
전경련 “수출규제 1년… ‘소부장’ 위기 극복했으나 한일협력 필수”
  • 이상래 기자
  • 승인 2020.06.29 15: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국 제조업 부가가치 창출액 1233억달러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매일일보 이상래 기자] 작년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 국산화를 통해 공급리스크를 일정 수준 극복했으나 여전히 한일 협력 강화가 양국 경제에 더 이득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9일 개최한 ‘일본 수출규제 1년, 평가와 과제 세미나’의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일부 품목은 최근 오히려 수입액이 늘어난 데다가 양국 분업체계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경우 창출되는 부가가치가 크다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됐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진정한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일본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글로벌 분업체제에서는 한 국가가 모든 것을 다 잘하기 쉽지 않다”며 “조선·전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업종에서 한국과 일본 기업은 글로벌가치사슬(GVC)로 긴밀히 연결돼 있다”고 말했다.

이홍배 동의대 무역학과 교수도 “한일 소부장 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면 역설적으로 일본과 긴밀한 협력은 필수”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한일 소부장산업은 분업체제로 2018년 약 811억달러 규모 부가가치를 창출했고, 전체 제조업으로 확대하면 이는 1233억달러로 늘어난다”며 “양국의 GVC 붕괴는 그만큼의 이익 손실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한일 양국에 소부장 산업 특화 지역을 만들어 기업간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활성화하고 기술자·경영자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소업체 간 인수합병(M&A)을 독려하거나 잠재력 있는 기업의 국산화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박재근 교수는 “일본의 기업별 평균연구개발비는 1534억원인데 한국은 130억원에 불과할 정도로 차이가 크다”며 “글로벌 기업 R&D센터 및 생산기지 국내유치를 추진하고 국산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