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기절벽에도 대체투자 뭉칫돈
상태바
코로나19 경기절벽에도 대체투자 뭉칫돈
  • 전유정 기자
  • 승인 2020.06.17 15: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정액, 전년 말 대비 반년만에 10조3000억원 ‘쑥’
“부실 자산 검증 한계 많아… 리스크 관리 강화해야”
대체투자의 가치평가와 리스크관리
최근 투자자들은 저금리 장기화 기조로 ‘대체투자’ 비중을 늘리는 분위기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전유정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급등락을 반복하는 증시에 질린 투자자들이 ‘대체투자’로 눈을 돌리고 있는 추세다. 신규 투자자금 유입이 상반기 주춤했지만 하반기에는 시장이 안정화될 거란 기대감에서다.

대체투자는 전통적인 투자자산인 주식과 채권 이외의 투자자산으로, PEF(사모펀드), 부동산, 인프라, 헷지펀드, 원자재 등이 대표적이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부동산·특별자산·혼합자산 등에 투자하는 대체투자 관련 국내 공모 및 사모 펀드 설정액은 지난 11일 기준 240조7000억원을 집계됐다. 지난해 말 대비 반년도 안 돼 10조3000억원(4.5%)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도별로 대체투자 펀드 설정액은 2015년 7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후 2016년 99조4000억원, 2017년 130조1000억원, 2018년 170조3000억원, 2019년 230조3000억원으로 매년 30% 이상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러한 증가세는 저금리 장기화 기조로 기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체투자에 자산배분 비중을 늘린 영향과 시중 부동자금을 흡수할 만한 방안이 대체투자 외에는 마땅히 없어서다.

업계에선 코로나19사태로 대체투자와 관련한 신규 프로젝트가 대부분 중단되거나 미뤄져 한동안 자금 유입이 끊겼지만 각국의 경제활동이 재개되며 하반기부터는 대체투자 자금이 추가적으로 국내증시로 유입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일각에선 대체투자 비중이 크게 늘고 있지만 부실 자산을 검증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제기했다. 특히 대체투자의 리스크 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복잡한 투자 구조, 비대칭적 정보, 낮은 유동성, 다양한 투자 유형 등을 꼽고 있는데, 대체투자의 가장 큰 비중은 사모주식과 헤지펀드로, 수익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공정가치 평가 수행 시 객관적 검증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2일 ‘대체투자의 가치평가와 리스크관리’를 주제로 자산운용사와 증권사, 관련 전문기관 10곳으로 TF를 구성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작업에 나섰다. 이날 부동산 등 대체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그림자 금융 전체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함께 투트랙으로 감독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저금리 환경 장기화와 상승랠리를 탄 증시도 안심하긴 어려워 대체투자 중심의 투자 계획을 세우는 등 해외투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다만 객관성 있는 평가자료 확보를 위한 프로세스가 부족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