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경기침체 산업 생태계 전반 흔든다
상태바
코로나發 경기침체 산업 생태계 전반 흔든다
  • 신승엽 기자
  • 승인 2020.06.04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항공‧여행‧대형마트 등 글로벌 침체에 전산업 피해
해외 의존도 높을수록 회복 난항…정부 일자리 정책 역행
구직자들이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설명회장에서 구직신청서 작성법 강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구직자들이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설명회장에서 구직신청서 작성법 강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신승엽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국내 산업계 전반이 흔들리고 있다. 

4일 산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여파로 국내 산업계에 구조조정 광풍이 불어닥칠 전망이다. 제조업부터 여행, 유통업 등은 이미 타격을 받고 있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내수 시장에서는 코로나19의 여파가 줄어들면서, 회복이 가능하겠지만, 해외에서의 코로나19 이슈는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우선 가장 빠르게 구조조정에 들어선 시장은 여행업계다. 여행업계는 상대적으로 대기업보다 자금여력이 부족한 업체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버티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국경이 닫히거나 일부 국가와의 하늘길을 닫는 등 주요 상품까지 판매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실제 6~8월 여행사들의 패키지 여행 예약은 전년 대비 99%나 줄었다.

이러한 악조건은 구조조정을 넘어 폐업까지 이뤄지는 상황이다. 한화투자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폐업 신고한 여행사는 315개에 달했다. 폐업신고조차 못하고 휴업 중인 업체도 상당수인 것으로 추정된다. 고용유지 지원금을 신청한 여행사도 6000곳을 넘어서고 있다. 현재 국내 여행으로 노선을 변경해 피해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회복에 기여하는 것은 어렵다는 분석이다. 

여행업계의 피해는 항공권으로 이어졌다. 각종 인수합병(M&A) 논란에 따른 구조조정도 존재하지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수익성 문제가 더욱 큰 골칫거리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국내 6개 주요 항공사들의 1분기 당기순손실은 1조5000억원에 육박한다. 현재 휴직 등으로 일시적인 인건비를 줄이고 있지만, 하반기가 접어들었음에 불구하고 하늘길이 닫혀 구조조정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저비용항공사(LCC) 이스타항공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3월까지만 해도 직원 1600명 중 약 700명 감원을 목표했다. 하지만 직원들의 급여 반납을 통해 인력 감축 규모를 절반 가량으로 줄였다. 

유통업계의 경우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이뤄지는 중이다. 롯데쇼핑은 지난 2월 백화점, 마트 등 오프라인 점포 700개 중 200개를 3~5년 내 정리한다는 내용의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점포당 300~500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고용을 보장받지 못하게 되는 셈이다. 홈플러스도 안산, 둔산, 대구 등 3개 점포에 대한 자산 유동화를 검토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도 예외는 아니었다. 국내 시장에서의 구조조정 업급은 없지만, 해외에서의 구조조정 신호탄이 발사됐기 때문이다. 르노는 소형 전기차 ‘포포’ 등을 생산하는 슬로베니아 공장 전체 인력 3200명 중 400명을 감원하겠다고 발표했다. 프랑스 내 생산·조립공장 세 군데를 폐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닛산도 연간 고정 지출 28억달러를 줄이고, 2만명을 감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GM)의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자회사인 크루즈도 최근 전체 인력 2000여명 중 160여명 감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트렌드가 향후 국내에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어 국내도 몸살을 앓고 있다.

구조조정 대란이 벌어질 경우,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정책도 발목을 잡힐 전망이다. 정부는 최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비대면 산업을 육성하는 디지털뉴딜을 발표한 바 있다. 비대면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비대면 산업을 육성할 경우 인공지능(AI) 산업 등에 대한 일자리는 늘어날 수 있지만, 오프라인에 집중하는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재계에서는 정부의 비대면산업 육성 정책을 두고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오프라인 중심으로 형성된 시장에서의 일자리를 디지털 관련 업으로 대체하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이 나왔다. 

재계 한 관계자는 “디지털 뉴딜을 통해 국내 비대면 생태계를 확산하겠다는 정부의 취지는 이해한다”면서 “하지만 오프라인에서 발생하는 인력들이 비대면 산업의 확대로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예를 들어 대형마트에 종사하는 인력들이 업체의 온라인 비중 확대에 발 맞춰 고스란히 고용을 보장받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며 “아직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모두 나온 것은 아니지만, 비대면 산업을 육성할 경우 오프라인 인력의 고용보장도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담당업무 : 생활가전, 건자재, 폐기물,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좌우명 : 합리적인 사고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