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비상] ‘사각지대’ 유흥시설, 집단감염 ‘새 변수’ 등장
상태바
[코로나19 비상] ‘사각지대’ 유흥시설, 집단감염 ‘새 변수’ 등장
  • 한종훈 기자
  • 승인 2020.04.08 14: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운영 중단’ 권고에도 영업 강행 업소 많아
강남 유흥업소 확진자 발생… 접촉자 100명 넘어
밀폐된 공간서 접촉 빈번 집단감염 가능성 높아
서울시, 유흥업소 ‘집합 금지’ 사실상 영업 중단
코로나19 확진자가 근무했던 서울 강남구의 한 유흥업소에 임시휴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가 근무했던 서울 강남구의 한 유흥업소에 임시휴업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 연합뉴스.

[매일일보 한종훈 기자] 유흥시설이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집단감염의 새 변수로 등장했다.

클럽이나 술집 등 유흥시설은 밀폐된 공간에서 접촉 가능성이 높아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높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뿐만 아니라 하루에 적게는 수십명에서 많게는 수백명까지 오가며 집단감염 우려도 끊임없이 제기됐다. 정부 역시 이들 시설에 대해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동안 운영중단 권고를 내렸다.

하지만 지난달 일본에서 입국한 아이돌그룹 초신성 출신이자 현재 슈퍼노바 멤버 윤학과 접촉한 강남 유흥주점 종사자 A씨가 지난 2일 확진을 받았다. 문제는 A씨가 지난달 27일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업소에서 일했다는 점이다.

이 내용은 뒤늦게 파악됐다. A씨가 역학 조사 과정에서 직업을 프리랜서라고 진술한 데다, 지난 새벽 근무 사실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방역 당국은 당시 손님을 5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종업원들이 방을 옮겨 다니거나 음식을 나르며 동선이 겹쳤을 수도 있다. 추가 파악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직원과 손님 등 118명이 밀접접촉자로 분류됐다. 집단감염으로 번질 경우 일일 신규 확진자 50명 이하 유지를 목표로 진정세를 유도하려던 방역 당국 방침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사회적 거리두기’ 차원에서 유흥시설은 방역체계의 구멍이 될 수 있다. 입구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소독을 해도 폐쇄된 공간에 들어간 뒤에는 통제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방역 당국은 지난 2주간 유흥시설 3만여곳을 점검했다. 이 중 방역 지침을 위반한 곳은 7300 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3곳에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일부 유흥시설은 정부의 강력한 방역 지침에 불을 끄고 단골 손님만 받는 곳도 있다. 열 감지기와 손 소독제 등을 구비해 놓고 손님을 안심시키는 경우도 많다. 무엇보다 불법 유흥시설의 경우 손님과 업주 사이에 현금 결제가 이뤄진다는 점에서도 동선 추적이 쉽지 않다.

장기간 코로나19 사태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지면서 유흥시설 출입도 많아진 것도 문제로 꼽힌다. 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에서 주점을 운영하는 박 모씨는 “코로나19 초기 주말에는 손님이 평소보다 50% 가까이 줄었다”면서 “하지만 3월 말부터는 거의 평소 주말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시는 유흥시설에 사실상 영업 중지 명령을 내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8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룸살롱, 클럽, 콜라텍에 대해 정부가 설정한 사회적 거리 두기 기간인 19일까지 집합금지 명령을 내린다”고 말했다.

이어 박 시장은 “이렇게 되면 유흥시설들은 자동적으로 영업을 할 수가 없다”면서“감염병예방법에 나오는 시장의 권한으로 사실상 영업 중단을 명령한 것이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그동안 2146곳의 클럽, 콜라텍, 유흥주점에 일시 휴업을 권고했는데 422개 업소가 영업 중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박 시장은 “이런 장소들에서는 밀접 접촉이 이뤄지고, 방역 수칙을 지키기가 불가능해서 집합금지 명령을 내린 것이다”고 말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도 룸살롱이나 클럽 등 유흥시설에서 코로나19 발생 추이에 따라 운영제한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총괄 조정관은 “지자체 공무원, 경찰,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등이 합동으로 유흥업소들이 가장 이용도가 높은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점검토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방역 조치가 잘 이행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 총괄 조정관은 “위험도 높은 시설 등의 감염·확진 사례 발생 추이 등을 분석하고 현행 조치로 방역이 가능할지,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할지도 계속 지켜보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