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연, 국내 최초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 개발
상태바
건설연, 국내 최초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 개발
  • 이재빈 기자
  • 승인 2020.03.16 1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과 연계된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 개발
지하공간통합지도와 연계해 지하 매설물 지진피해 사전 대응 도움 기대
2017년 포항 지진 당시 지반 액상화 현상 사례. 사진=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2017년 포항 지진 당시 지반 액상화 현상 사례. 사진=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매일일보 이재빈 기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16일 지진 시 발생하는 지반 액상화 현상을 시각적으로 예측하는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반 액상화는 지진으로 인해 지반에 반복적으로 큰 힘이 가해질 경우 땅이 물렁해지거나 액체같은 상태로 변하는 현상이다. 건물 혹은 구조물의 기울어짐이나 붕괴를 유발해 인명·재산피해를 일으킨다. 국내에서는 2017년 포항 지진 당시 액상화 현상과 관련된 피해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건설연은 현재 운영 중인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과 연계된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개발했다. 건설연은 국토교통부 지침에 의거해 전국 약 29만공의 시추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관리하며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는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각 지역별로 토양이 액상화될 위험성을 지도상에 입체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흙으로 된 지반은 액상화 변형이 일어나기 전까지 고체의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으며, 이를 액상화 저항성이라고 한다. 또한 각 지역마다 토질이 다르기 때문에 액상화 저항성에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

연구팀은 지진으로 인해 지반에 발생하는 힘과 흙의 액상화 저항성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안전율을 산출했다. 지역별 액상화 저항성을 계산할 때는 건설연이 구축해놓은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했다. 이렇게 얻은 안전율 데이터를 지반 깊이별로 시각화하면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는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과 연계해 운영될 예정이다. 따라서 시스템 기초 정보가 업데이트 될 경우 액상화 위험지도도 빠르게 갱신할 수 있어 지진재난 대책 관련 전문가들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건설연은 3차원 지진 액상화 위험지도를 국토교통부 사업인 ‘지하공간통합지도’와 연계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표면 아래 매설된 각종 상하수도나 통신장비 등의 지진 피해를 예측하고 사전 대책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연구책임자인 한진태 연구위원은 “국토지반정보포털시스템과 연계된 3차원 액상화 위험지도는 지하안전관리를 위한 3차원 지반정보와 융합하여 관련 기술의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다”며 “지하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