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 확진자 다녀간 도시 셧다운… ‘점입가경’
상태바
신종코로나 확진자 다녀간 도시 셧다운… ‘점입가경’
  • 임유정 기자
  • 승인 2020.02.16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호명 노출 매장 ‘꼬리표’심각
업체 휴점 행진, 재개해도 ‘썰렁’
법적으로 정부 보상받기도 어려워
정부 ‘클린존’ 등 개선방안 찾아나서
9일 서울 중구 명동 롯데백화점 본점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방문으로 인한 임시휴점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 9일 서울 중구 명동 롯데백화점 본점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방문으로 인한 임시휴점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매일일보 임유정 기자] 중국발(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사태로 시작된 셧다운 공포가 산업계 전체를 강타하고 있다. 확진자 동선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련 업체들이 잇따라 폐쇄를 결정하고  있어서다. 특히 영업을 재개하더라도 소비자들의 경계가 사그라들지 않으면서 업체들의 피해는 추산키 어려울 만큼 불고 있는 실정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시민들이 감염에 대처할 수 있도록 확진자의 동선과 다녀간 상호명을 공개하고 있다. 현재 밝혀진 매장만 수십 곳에 달한다. 이에 따라 관련 업체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영업을 중단하고 있다. 

문제는 일정 기간 소독을 마치고 격리기간까지 지났음에도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꼬리표’는 쉽사리 지워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보건소에서는 확진자가 방문한 매장도 소독만 완료되면 안전하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소비자가 새긴 주홍글씨는 여전히 남아 업체 곳곳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확진자 동선에 맞춰 대형 유통업체들은 하나 둘 문을 닫았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서울 소공로 본점이 사흘간 임시휴업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국내 23번 신종 코로나 환자(57·여)가 지난 2일 이곳을 방문한 것이 확인되면서다. 롯데백화점 본점이 방역을 위해 휴점하는 것은 1979년 문을 연 뒤 41년 만에 처음이다.

23번 환자가 다녀간 이마트 마포공덕점도 같은 날 오후 2시부터 임시 휴점에 들어갔다. 여기에 같은 건물을 쓰는 롯데면세점과 에비뉴엘, 건너편의 영플라자도 임시 휴업했다. 본점 하루 평균 매출액이 주말의 경우 100억원대 인것을 감안하면 피해 규모는 어마어마하다. 이 기간 임시휴업으로 롯데는 약 650억원의 매출 손실을 본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 10일에는 롯데백화점 30개 점포,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이 각각 10여개 점포가 방역을 위해 문을 닫았다. 신라면세점 서울점은 12번째 확진자가, 신라·롯데면세점 제주 지점들은 중국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중국인이 방문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휴점 했다. 또 이마트 군산점‧부천점, 현대아울렛 송도점 등도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정부 발표에 일제히 3~4일간 임시휴업 했다.

단축영업도 이어지고 있다. 롯데리아는 일부 매장 휴점과 단축 영업에 들어갔다. 전국 12개 점포는 문을 닫았고, 4개 점포는 평균 1시간 영업시간을 단축했다. 해당 매장은 신종 코로나 감염증 확진자의 동선 인근 지역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다. 또 백화점, 대형마트에 입점한 점포도 해당 매장 휴점에 따라 문을 닫았다. 폐점 매장의 재개장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매출 감소는 불가피해 보인다.

문제는 확진자의 방문으로 영업장을 폐쇄한 백화점과 마트, 면세점 등은 정부로부터 손실에 대해 보상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현재 감염병 등으로 손실을 입고 정부의 보상을 받을수 있는 곳은 병원과 요양기관으로 한정돼 있다. 민간 사업자의 경우에는 폐쇄 명령을 내렸을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자발적으로 방역 작업에 들어간 업체들은 손실을 100% 감수해야 되는 셈이다.

설상가상 곤경에 빠진 건 상호명이 노출된 업체들뿐만 아니라는 점이다. 관련 업체들을 중심으로 인근 자영업자까지 모두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는 형국이다. 한 A외식업체 관계자는 “상호명을 공개할 수밖에 없다는 걸 알지만 매장을 운영하는 입장에선 절망적인 현실”이라며 “지난해 북적거렸던 밸런타인데이 예약 전화도 1~2통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휴장했던 일부 매장이 속속 문을 열고 있지만 매출을 정상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데 시일이 걸린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사태 악화와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어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기류도 짙다. 이달 대형 백화점과 면세점 등은 소비 촉진을 위한 개점 행사를 잡았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소독을 마친 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감출 여부를 확인한 뒤 ‘클린존’ 인증을 실시한다. 확진자가 다녀갔더라도 안전하다는 점이 입증된 매장은 스티커 형태의 안내를 붙여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자가 또는 입원 상태로 격리된 사람에게는 17일부터는 생활지원비 지급 신청도 받는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정부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바이러스에 이슈가 뜸해질 때까지 당분간은 업계 전체가 영업을 이어나가는데 있어 다양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면서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통보를 받으면 곧바로 임시휴업을 진행하고 있고, 문을 다시 열더라도 방문하는 소비자가 없어 이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