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 끌어내려"
상태바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 끌어내려"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0.01.13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23년간 3% 떨어드려…소비 줄고 저축은 늘어""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지난 20여년간 실질금리를 3% 떨어뜨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지난 20여년간 실질금리를 3% 떨어뜨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광표 기자] 인구 고령화가 지난 20여년 동안 실질금리를 3%포인트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13일 발간한 BOK경제연구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는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오르면서 실질금리를 1995년에서 2018년까지 23년간 3%포인트 떨어뜨렸다고 분석했다.

실질금리란 통화안정증권 1년물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값으로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을 말한다.

권오익·김명현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며 "고령화 효과가 한국의 실질금리 하락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8.6%포인트 하락했다. 실질금리 하락폭의 3분의 1이 고령화 여파로 추정되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저축률이 높아지면 금리는 낮아지는 데다, 저출산에 청년 인구가 줄면 경제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금리도 떨어지게 된다. 금리는 장기적으로는 잠재성장률 추세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또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이 인구 증가율 감소로 인한 영향의 두 배"라며 "기대수명 증가로 인한 실질금리 하락분이 2%포인트라면, 인구 증가율 변화에 따른 낙폭은 1%포인트"라고 밝혔다.

기대수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 경제주체들이 즉각적으로 저축을 늘리려 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향후 인구 고령화가 지속하면 실질금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