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연 “증권사 PF 익스포저 위험수준 아니다”
상태바
자본연 “증권사 PF 익스포저 위험수준 아니다”
  • 정웅재 기자
  • 승인 2019.11.21 1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시의무·레버리지 규제 강화 제언하기도
이석훈·장근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1일 ‘국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 시장의 추이와 위험 분석’ 브리핑을 열고 증권사들 부동산PF 익스포저가 위험수준이 아니라고 진단했다. 사진=정웅재 기자
이석훈·장근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1일 ‘국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 시장의 추이와 위험 분석’ 브리핑을 열고 증권사들 부동산PF 익스포저가 위험수준이 아니라고 진단했다. 사진=정웅재 기자

[매일일보 정웅재 기자] 증권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화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가운데, 자본시장연구원이 증권사들의 부동산PF 익스포져가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고 진단했다.

이석훈·장근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1일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 증권업 부동산PF 유동화 시장의 추이와 위험 분석’ 브리핑을 열고 증권사들의 전체 PF 유동화 증권에 위험점수를 측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위험점수는 △부동산 용도(25%) △지역(30%) △시공사(35%) △채무보증(10%) 등 위험 요인에 각각 가중치를 둬 평가한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위험도가 높다는 의미다. 장 연구위원은 “지난해 부동산PF 규모가 1조원 이상인 증권사들이 많아졌지만, 위험점수가 대체로 0.3 이하를 유지한다”고 분석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지역과 사용 용도 등 위험요인별로 부동산PF 위험점수를 평가한 결과 지난해 위험점수 평균은 0.301로 2014년의 0.254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되는 위험점수 0.3 이하인 부동산PF 비중은 2014년 71%에서 지난해 55%로 감소했다.

자기자본별 부동산PF 규모를 보면 지난해 기준 중소형사들의 평균 위험 점수는 0.4 내외가 많았으며 대형사보다 위험점수 증가 폭이 더 컸다. 대형증권사들은 0.3 이하 수준이었다. 장 연구위원은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PF 채무보증 규모와 평균 위험점수를 반영해 보면 증권사들의 위험 익스포저가 양적·질적 측면에서 동시에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또 두 연구위원은 시나리오를 통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도 공개했다. 부동산PF 손실률이 높아지는 시나리오를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증권사 손실 금액이 자기자본의 10% 이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의 급랭으로 만기 1년 이하 PF 대출의 디폴트 비율이 상승하는 경우와 모든 만기에 대해 위험점수 상위 13% 이상이 디폴트 되는 경우를 가정했을 때 증권사 전체 디폴트 금액은 각각 1조1700억원, 1조700억원으로 추정됐다. 디폴트 손실을 순자본 감소에 반영해 산출한 순자본비율은 20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석훈 선임 연구위원은 “증권업의 위험 익스포저가 상승하는 추세에 있고, 저성장 기조로 부동산시장의 침체 가능성도 잠재적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며 “금융당국과 업계가 잠재적인 위험 증가를 제어하고, 위험관리 실패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증권사 사업보고서상에 부동산PF 관련 공시를 강화하고, 부동산PF 등 부외 항목 위험까지 고려한 레버리지 규제를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