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사업다각화] 10곳 중 1곳은 '좀비기업'…구조조정 필요
상태바
[건설사 사업다각화] 10곳 중 1곳은 '좀비기업'…구조조정 필요
  • 최은서 기자
  • 승인 2019.11.13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자도 감당 못하는 한계기업 갈수록 증가
"방치할 경우 경제 전반 역동성 저하 우려"

[매일일보 최은서 기자] 건설업계에 '좀비기업(한계기업)'이 늘어나면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다시 나오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책과 국내외 변수 등으로 건설경기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건설산업도 혁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13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외부감사 대상 건설업체 1833개사 가운데 이자비용보다 영업이익이 적어 이자상환을 못하는 건설사가 514개(28%)에 달한다. 이 같은 건설업계 좀비기업은 2014년 344개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들 기업 중 3년 연속 경영실적을 제출한 1433개사 가운데 146곳(10.4%)이 한계기업으로 2017년(9.2%)보다 1.2%포인트 높아졌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을 나눈 값인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부실업체를 말한다. 

한계기업의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0.08%로 정상기업의 평균 이자 보상배율인 7.79%에 한참 못미쳤고, 한계기업의 부채비율은 2403.3%로 정상기업 부채비율(126.1%)의 20배에 육박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한계기업의 지속적인 증가는 산업 내에 정상적인 기업이 감소하게 만들어 국가재정 낭비 및 시장경제 체계에 부합하는 건전한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않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산업의 생산성 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한 산업의 한계기업 자산 비중이 10%포인트 높아지면 해당산업의 정상기업의 고용증가율은 0.53%포인트, 투자율은 0.18%포인트 하락한다. 한계기업이 증가하면 정상기업들이 고용과 투자에 나설 여력이 감소하는 셈이다. 

또 CEO스코어의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이자보상배율을 보면,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한계기업은 두산건설 등 16곳으로 집계됐다. 

두산건설의 경우 유동성 위기에 모기업인 두산중공업의 유상증자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지난 3분기 잠정실적에서 연결기준 매출은 직전분기 대비 7.3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8.92%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118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특히 작년 두산건설의 부실사업장 관련 대규모 손실 인식으로 두산그룹 전반의 재무여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대우건설의 매각 실패 원인이 됐던 해외사업장 잠재부실 문제 역시 구조조정을 주도했던 산업은행이 구조조정 작업에 있어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정대희 KDI 연구위원은 "1990년대 버블붕괴 이후 일본에서 취해진 부실기업에 대한 대규모 금융지원이 기업 퇴출을 지연시켜 일본의 장기침체를 유발한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기업 구조조정이 지체되는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우리 경제의 전반적인 역동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