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인프라 구축]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 1200곳…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드라이브
상태바
[수소 인프라 구축]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 1200곳…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드라이브
  • 문수호 기자
  • 승인 2019.10.22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 수소차 6.7만대, 수소충전소 310개…2040년엔 290만대, 1200기 목표
수소 인프라 확대 위해 4대 방향 수립, 아직은 비용 국산화율 문제로 미흡

[매일일보 문수호 기자] 정부가 올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며 수소사회 구현을 천명한 가운데, 수소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구체적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내놓으면서 본격적인 수소 드라이브에 나섰다.

정부는 22일 △수소 생산·공급의 경제성 확보와 △수소 충전소 구축·이용의 편의성 제고 △수소 안전성 강화를 골자로 하는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효율적인 수소 생산·공급체계와 수소가격 안정화를 위해 경제성·편의성·안전성에 기반한 수소 공급 및 충전 인프라를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수소충전소의 균형 배치와 자생적인 확산 기반을 마련해 자연스럽게 수소경제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차 6.7만대, 수소충전소 310개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2040년까지 수소차 290만대, 수소충전소 1200기 이상 확충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수소차 보급현황은 3436대 수준으로, 연말까지 작년 대비 7배 이상 증가한 6395대로 보급 규모를 늘릴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 충전소는 지난해 14기에서 올해 17기가 신규 구축돼 총 31기의 수소충전소가 완비돼 있다.

정부는 수소 인프라 확대를 위해 △수소 생산·공급의 효율성 및 규모의 경제 달성 △전국주요 도시 15분 이내 이용 가능한 충전 환경 조성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100% 국산화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 안전관리 기준 마련 등 4대 방향을 수립했다.

현재 국내 환경은 수소 생산지 편중으로 인한 높은 수송비용과 경제성 부족, 인프라 충전소 도입의 높은 비용 등이 문제로 꼽힌다. 또한,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국산화율도 약 40% 수준에 불과해 절대적 인프라 부족이 수소경제 구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경을 통해 25기의 수소충전소 지역선정을 완료했으며, 내년 안에 빠르게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모든 광역지자체에 최소 2기 이상의 충전소를 설치하고, 수소버스 집중 보급 지자체를 선정해 차고지 위주로 전용충전소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수소충전소 제고를 위해 재정 지원과 수소차 보급 확대에 힘쓰고, 융복합·패키지형 수소충전소 구축 확대를 통해 비용 부담 절감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의 모든 부품과 기술의 100% 국산화를 통해 구축비용을 70%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