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바라보는 중국]글로벌 기업의 이유있는 탈중국 러시
상태바
[한국기업 바라보는 중국]글로벌 기업의 이유있는 탈중국 러시
  • 이상래 기자
  • 승인 2019.10.15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중 무역전쟁, 인건비 상승, 차별적 규제
베트남 등 동남아, 중국 대체국가로 급부상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 러시가 이어지는 이유로 미·중 무역전쟁 후폭풍과 현지 인건비 상승, 중국 정부의 차별적 규제 등이 거론된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 러시가 이어지는 이유로 미·중 무역전쟁 후폭풍과 현지 인건비 상승, 중국 정부의 차별적 규제 등이 거론된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이상래 기자]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 러시가 이어지는 이유로 미·중 무역전쟁 영향과 현지 인건비 상승, 중국 정부의 차별적 규제 등이 거론된다.

15일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기업이 중국 현지 공장 가동 중단 결정을 확대하는 추세”라며 “중국 시장 현지 인건비가 올라가는 등 장점은 사라지는 반면, 미·중 무역전쟁, 중국 정부 차별적 규제 등의 리스크는 커진다”고 했다.

중국 인건비는 자국 경제 성장속도와 맞물려 빠른 속도로 상승한다.

최근 삼성전자가 중국 내 마지막 남은 휴대전화 생산공장인 후이저우 공장 가동 중단을 결정한 것도 인건비 상승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2008년 1894위안(32만원)이었던 후이저우 공장 월평균 임금은 10년 만에(2018년 기준) 5,690위안(97만원)으로 3배 수준으로 올랐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미국 정부의 중국산 제품 추가 관세 추진도 글로벌 기업의 탈중국을 가속화한다.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경우 추가 관세가 부과돼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이에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가 값싼 인건비를 바탕으로 중국을 대체할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른다. 애플은 최근 주요 납품업체에게 중국 내 생산 물량의 15~30%를 동남아 국가들로 옮길 경우 비용이 얼마가 드는지 평가해달라고 요청했다.

삼성전자도 베트남과 인도를 휴대전화 자체 제조의 중심축으로 삼을 계획이다. 이와 관련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지난 7월 “삼성의 행보는 세계 밸류체인(가치사슬)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걱정을 갖게 한다”며 “미·중 무역분쟁 와중에 기업들이 베트남 인도 등지로 이동하는 점이 우려된다”고 했다.

중국의 자국 기업에 유리한 차별적 정책도 문제로 지적된다. 중국제조 2025는 정부가 2025년까지 10대 제조업에서 자국기업을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의 주요수단은 중국기업에 대한 정부의 대규모 지원금이다.

정부의 지원금은 중국기업의 저가 물량공세를 가능하게 한다. 대표적으로 중국 BOE, CSTO 등의 물량공세로 75인치, 65인치 LCD 패널 가격은 2018년 9월 이후 11개월 연속 하락세다.

중국 정부는 자국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에는 차 가격의 30%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 전기차 배터리 3위 기업 BYD와 관련해 로이터통신는 “BYD의 늘어난 순익 절반이 정부 지원금에서 나왔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전기차 대당 7900달러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