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절반 월 수익 200만원 미만” 지적… 편의점 본사와 의견 ‘팽팽’
상태바
“편의점 절반 월 수익 200만원 미만” 지적… 편의점 본사와 의견 ‘팽팽’
  • 임유정 기자
  • 승인 2019.10.15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 국정감사, 가맹점 절반에 해당하는 점포가 ‘저매출 위험 점포’ 경고
편의점 3사, 서울·수도권 지역과 지방 점포간 매출 차이 감안해야…‘억울’
세븐일레븐 롯데타워점. 사진=임유정 기자
세븐일레븐 롯데타워점. 사진=임유정 기자

[매일일보 임유정 기자] 2019 국정감사에서 국내 편의점 빅3(GS25·CU·세븐일레븐) 가맹점 절반에 해당하는 점포가 ‘저매출 위험 점포’라는 지적이 나왔다. 그럼에도 창업 시장에서 편의점의 인기는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마다 늘어나는 편의점 수만큼 상생전략도 비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지만 본사측은 정작 억울하다는 ‘대립된 입장’을 보이면서 팽팽하게 맞서는 모양새다.

15일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8일 국회서 열린 산업통산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지난해 주요 3대 편의점 전체 점포 3만3068개 중 일 매출 150만원 미만 ‘저매출 위험구간 점포’는 전체 47.8%인 1만5819개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저매출 위험구간 점포란 본사 가맹수수료, 임대료, 아르바이트 노동자 임금 등을 제외하고 편의점주가 월 200만원 정도를 벌 것으로 추정되는 점포다.

일 매출 110만원 미만 점포는 20.9%인 6647개였고 80만원 미만 초저매출 점포도 6.7%인 2228개로 집계됐다. 일 매출 110만원 미만인 적자 점포 비율은 △2016년 19.3% △2017년 21.1% △2018년 20.1%를 기록했다. 일 매출 150만원 미만의 저매출 위험점포 역시 △2016년 46.4% △2017년 49.7% △2018년 47.8% 였다. 일 매출 110만원은 가맹 수수료와 임대료, 아르바이트 임금 등을 제외할 경우 적자를 기록하는 점포의 기준이다.

이런 가운데 해마다 편의점은 하루가 멀다 하고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GS25는 올해 들어 늘어난 점포 수가 500여곳에 달한다. 그 중 5분의1이 지난 달 문을 열었다. GS25의 지난달 말 기준 점포수는 1만3596개로 8월말(1만3505) 대비 91개 증가했다. 3분기까지의 순증 점포 수는 489곳으로 전년 동기(548개) 대비 11% 가까이 줄었지만, 지난해 3분기 순증 수가 전년 대비 62.7% 급감한 것을 감안하면 감소세가 크게 둔화됐다.

CU도 지난달 말 기준 점포 수가 1만3681개로, 지난달 순증 수는 전년 동기(63개) 대비 22% 감소한 49개를 기록했다. 세븐일레븐의 경우에는 지난달 말 기준 점포수는 9879개로, 8월말(9826개)대비 53개 증가했다. 신규출점에서 폐점 숫자를 뺀 순증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10개)대비 5배를 넘어선다. 지난 7월부터 일본 불매운동으로 인해 세븐일레븐이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창업 수요는 정반대의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편의점이 많은 예비 창업자에게 창업 대안으로 채택되고 있는 주된 이유는 ‘사업 접근성’ 때문이다. 편의점은 큰 투자를 하지 않아도 개업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창업 아이템중 하나로 꼽힌다. 본사와 투자 금액에 따라 이익을 나누는 구조로 위탁점포의 경우 최소 2000만원대부터 자유롭게 편의점 문을 열 수 있다. 통상 편의점 본사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수익을 남긴다. 갖고 있는 점포수가 많고, 이들 점포의 매출이 높을수록 이득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편의점 본사가 내실 다지기에 집중하지 않고 외향 키우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의 목소리를 낮추지 않고 있다. 특히 가맹점주의 경영여건 개선을 위한 상생협력 및 점주 달래기가 급선무라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는 모양새다. 여기에 정부와 지자체도 '담배소매인 거리확대 추진' 등과 같은 민생행정의 전면적 시행을 검토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다수가 고개를 끄덕이는 상황이다.

편의점 업계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수도권 지역과 지방 점포의 매출 차이를 감안하지 않고 일정 매출 이하의 점포를 무조건 저매출 점포로 간주하는 것은 시장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각 가맹점과의 상생전략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시행해 나가고 있고, 하반기 전략역시 뚜렷하다는 게 본사측 뚜렷한 항변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국감을 두고 “수도권, 대로변, 번화가에 점포가 많으면 매출이 높을 수밖에 없다”면서 “매출이 높은 점포는 그 만큼 임대료 등 제반비용도 높은데 매출은 변량으로 두고 임대료, 가맹수수료, 인건비 등은 고정량으로 해 ‘수익을 추정한다’는 식의 산출 방식은 오류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24시간 미운영 점포수도 반영돼야 한다”면서 “현재 기사 등에 오픈된 24시간 미운영 점포 현황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CU 19% △GS25 13.6% △세븐일레븐 17.6%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예전부터 편의점업계 대부분 고매출 점포 위주의 오픈 전략을 세우고 시행하고 있다”면서 “상생프로그램 일환으로 저매출점 회생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어 판촉지원 및 점포 개선활동 시행하고 있고, 폐점을 원할 시에도 위약금 감면 정책이 마련돼 있어 점주 피해를 최소화하는 출구전략도 있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