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된 ‘성과주의’ DLF사태 키워…“수요자 중심 판매 문화 정착해야”
상태바
그릇된 ‘성과주의’ DLF사태 키워…“수요자 중심 판매 문화 정착해야”
  • 홍석경 기자
  • 승인 2019.08.25 15: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국·미국 금리 연계 DLF, 65세 이상 고령층이 45.7% 차지
금융권 성과주의 따른 무분별한 상품 판매 소비자 피해로 이어져 지적
전문가, “단순 수익률 맞춰 주기 보단 위험성향 고려해 다양한 상품 제시해야”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최근 파생결함증권(DLS)·파생결합펀드(DLF) 대규모 손실과 관련해 공급자 중심의 판매문화가 소비자 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권에 팽배해 있는 성과중심 문화가 무분별한 초고위험 상품 판매로 이어져 사태를 키웠다는 분석이다.

25일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에게 제출한 DLF 현황 자료를 보면 개인에 판매한 독일과 영국·미국 금리 연계 DLF 상품은 4422억원이다. 이 중 두 은행이 65세 이상 고령층에게 판매한 DLF 상품 잔액은 2020억원이다. 이는 전체 금액의 45.7%로, 절반 가까이가 고령층에서 판매된 것으로 해석된다.

두 은행을 통해 문제의 DLF 상품을 사들인 개인 고객은 총 2043명이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층 고객은 768명이다. 해당 상품을 보유한 고객 10명 중 4명(37.6%)에 달한다. 금감원이 이달 7일 기준으로 추정한 영·미 CMS 금리 연계상품의 평균 예상 손실률은 56.2%다.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상품의 예상 손실률은 무려 95.1%다. 1억원을 맡긴 사람들이 500만원을 돌려받는다는 것이다.

65세 이상 고객이 많다는 점은 은행 측이 부적절한 상품을 부당하게 권유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가 된다. 고령층에게 고위험 상품은 통상 부적합 상품으로 분류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은행이나 증권사나 고객이 먼저 찾아와 이런 손실 위험이 높은 상품을 가입하겠다고 나서는 경우는 정말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면서 “이번 사태는 전형적으로 상품을 팔아 수수료 챙기기에만 급급했던 금융권의 책임이 크다. 상품 만기를 짧게 한 것도 수수료를 여러 번 챙기기 위함인데, 이번 사태만 봐도 은행권 손실은 하나도 없지 않나. 결국 시중 금리 이상의 폭탄을 여러 번 돌리다가 이번에 폭발 하게 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일반적으로 시장이 침체됐을 때, 수익률 맞추기가 가장 좋은 자산이 옵션상품이다”면서 “금융상품을 팔아 성과를 챙겨야 하는데, 마땅한 자산이 없으니 파생상품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 없이 옵션을 끌어온 것이다. 상품을 판매하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으니 이게 어떤 상품인지도 모르고 일단 만들고 제시해 본 것이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금융소비자들의 고위험 상품에 대한 이해가 낮은 만큼 금융자문시장이 더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 높인다. 자본시장 한 전문가는 “금융권이 먼저 상품을 들고 찾아가기 보단, 여러 금융상품을 소비자들에 제시해 주고 위험군별 상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오히려 자문시장의 역할이 더 커질 것 같다. 금융권이 단순히 수익률을 맞춰주기 보다는 고객의 투자성향 등을 고려해 선택지를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도 대규모 원금 손실 우려가 발생한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상품과 관련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검사를 벌일 예정이다. 당장 26일부터 IBK투자증권과 KB자산운용, 유경PSG자산운용에 대한 금감원 검사가 실시된다. 검사 기간은 일주일가량이다. 다음달 2일부터는 NH투자증권과 교보악사자산운용에 대한 검사가 진행된다. 유안타증권이나 미래에셋대우처럼 상품을 직접 판매한 증권사의 경우 판매규모가 크지 않아 당장 검사대상에 포함되지는 않았다. IBK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는 독일 국채 10년물과 연계한 DLS을 발행했고 KB자산운용과 유경PSG자산운용, 교보악사자산운용 등은 해당 증권사의 DLS 상품을 포트폴리오에 담아 DLF로 구성했다.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