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벤처 붐 이끌 ‘소셜벤처’… 대기업도 몰려들어
상태바
제2벤처 붐 이끌 ‘소셜벤처’… 대기업도 몰려들어
  • 나기호 기자
  • 승인 2019.08.25 1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직은 부족한 민간형 임팩트투자, 세게 규모 0.35% 불과
사회적 가치 정책 집중에 대기업 금융·공간·인재육성 박차

[매일일보 나기호·신승엽 기자] 소셜벤처는 경제,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추구해 제2벤처 붐을 이끌 새로운 기업 유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기업도 소셜벤처 육성과 창업을 위한 지원에 팔을 걷고 있어 정부 지원에 소외된 소셜벤처 생태계에 활기가 돋을 전망이다.

소셜벤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지만, 관련 인증제도를 받지 않은 기업을 뜻한다. 재활용 쓰레기를 통해 패션 상품을 만드는 등 각종 이슈를 선순환으로 이끄는 역할을 맡는다. 국내에서는 사회적기업 인증제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거부한 창업기업은 소셜벤처로 분류된다.

통상 기업의 목적은 사회문제 해결보다 이윤 추구에 중심을 둔다. 대척점에 있는 재단은 비영리를 추구하면서 사회적 문제 해결에 앞장선다. 하지만 소셜벤처는 이 둘의 중간지점에 있다. 사회, 복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동시에 기업으로서 이윤을 추구한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소셜벤처 생태계는 매우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창업초기활동에서 건강‧교육‧사회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3.6%로 미국(19.7%), 영국(19.4%), 독일(29.0%) 등에 비해 저조했다. 또한, 임팩트투자는 소셜벤처의 중요한 자금원이 되는데 국내 임팩트투자 시장규모는 약 539억원으로, 세계 규모인 15조2000억원의 0.35%에 불과했다. 임팩트투자를 소셜벤처에 중개해주는 민간 임팩트투자 중개지원기관은 20개 정도로, 대부분 자금규모가 작은 법인형 개인엔젤이다.

소셜벤처에 대한 특화된 모델유형을 보유한 스웨덴의 경우, 정부 차원의 소셜벤처 발굴 프로젝트, 민간의 자발적인 임팩트투자·보육기관 설립 등 민·관의 관심과 지원을 집중한다. 또한 수천만달러에 육박하는 민간형 중심의 임팩트투자 기관을 보유하는 등 직접적인 소셜벤처 육성과 액셀러레이터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소셜벤처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연일 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열린 ‘제3차 일자리위원회’에서 발표된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에 소셜벤처가 포함된 바 있다. 국가적으로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지 않은 업체까지 지원하겠다는 뜻이다. 담당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 외에 금융위원회도 함께 나서고 있다. 유관기관인 기술보증기금은 소셜벤처 전용 상품을 개발하는 등 팔을 걷고 지원하는 상태다.

대기업의 소셜벤처 지원도 활발하다. SK의 경우 최태원 회장을 필두로 지난 2012년부터 사회적기업을 지원했고, 현재 소셜벤처까지 지원 영역을 확대했다. KT&G는 작년 9월부터 30억원 규모의 청년창업 지원사업인 ‘상상스타트업 캠프’를 시작했다. 1기에 예비 청년창업가 45명을 선발했고, 14주간의 창업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LG는 ‘소셜펀드’와 ‘소셜캠퍼스’를 운영하는데, 2010년부터 친환경 분야에 특화된 사회적기업에 금융지원, 공간지원, 성장지원, 인재육성 등을 펼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